Page 139 - 오산문화총서 8집
P. 139

「조선시대 이후 하도면과 마주하면서 옛 진강현의 부치 쪽 곧 위쪽에 자리하고 있어 상도면이

                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위량면(位良面)과 합하고 위량면에서 양(良)자와 상도면
                에서 도(道)자를 따서 양도면이라 칭하였다.」



                 그러므로 관미성은 한반도 최고의 빗장인 강화군으로 보아야 한다. 강화도, 교동도, 석모도를
                모두 포함한 강화군을 관미성으로 보아야 한다.



















                도 1. 강화군 지도                             도 2. 초지진





                Ⅱ. 향가에 쓰인 대격조사 乙





                1. 주격조사와 대격조사



                 신라 향가에는 우리말의 조사가 많이 쓰였다. 주격조사(主格助詞)와 대격조사(對格助詞)가 적
                절히 구사되었다. 이두문(吏讀文)으로 쓰인 향가에서 두 조사가 어떤 위치에서 어떻게 실현되는
                가를 살펴보았다.



                 1) 주격조사로 쓰인 隱(은,는)



                 신라 향가에는 우리말의 주격조사 ‘은(는)’이 쓰였다. 노래의 참맛을 살리기 위해서 주격조사





                                                        광개토왕비문에 등장하는 모수성은 독산성일까?  137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