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오산학 연구 6집
P. 128

3) 오산시궐리사



                궐리사는 일반적으로 공자의 고향인 중국 곡부에 있는 공자의 사당을 가리킨다. 중국 춘추전
               국시대의 공자가 살던 마을 이름이 궐리(闕里)여서 그 이름을 따 궐리사(闕里祠)라 하였다. 궐리

               사는 중국의 향교와 달리 공자의 후손이 대대로 관리하고 제향을 하는 곳이다. 중국의 역대 왕
                                                                              22)
               조들은 궐리사와 공자 후손에 대한 지원을 통해서 문치주의를 표방하였다.  이에서 유래하여
               조선에도 궐리사가 세워졌고 성균관과 향교와 달리 궐리사는 공자를 유일하게 모시는 사당이
               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궐리사는 충청남도 논산시의 노성궐리사와 경기도 오산시의 화성궐리

               사 두 곳이다. 화성궐리사는 정조 16년(1792)에 창건 사액된 공자(孔子)를 모신 사당이고, 노성
               궐리사는 숙종 42년(1716) 전라도 지역에 사는 공자의 후손들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던 공자
               화상을 봉안하기 위해 설립한 곳이다. 오산시 화성궐리사는 조선 정조가 주도해서 세운 곳이다.

               정조는 영조의 뒤를 이어 즉위(1776)하자마자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수은묘(垂恩墓)를 정리
                                                                         23)
               하였다. 사당인 수은묘(垂恩廟)를 설치하고 수봉관(守奉官)을 두었다.  이어서 장헌(莊獻)이라
                                                                                            24)
               는 시호를 올리며 수은묘를 영우원(永祐園)으로 격상시키고 사당을 경모궁이라 개명하였다.
               집권 초기에는 천원(遷園)을 시행하지 못하다가 즉위 13년(1789) 되는 해에 영우원을 화산(華
               山)아래로(현 융릉) 이전하였다. 그 자리는 수원읍 관아가 있던 곳이어서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는데 지금의 수원에 새로운 도시로 자리 잡았다.
                수원읍의 이전(移轉)은 현륭원 조성도 연관이 있지만 정조의 개혁정치와도 관련이 있다. 새로
               운 도시가 들어서는 위치와 지세를 살펴보면 상업이 활성화할 수 있는 도시로 건설하려 한 정조
                                   25)
               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새로운 터전에 수원부관아를 건설하는 한편(1789) 새로 조성하는 고
               을에 사람을 많이 모으기 위한 조치로 이주해 온 수원부 민인에게 경제적인 혜택을 주고, 경내

               의 유생과 무사에 대한 시취(試取), 오랫동안 근무한 교속들에게 관직을 제수하거나 천전(遷轉)
               시키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26)
                정조는 당쟁에 의한 당파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 상왕(上王)으로 수원에 거주





               22) 이욱, 2007, 「조선시대 노성 궐리사와 공자사당」, 『종교연구』47, 한국종교학회, p.2.
               23) 『日省錄』, 正祖 즉위년 3월 19일.
               24) 『正祖實錄』卷1, 正祖 즉위년 3월 20일.
               25) 김동욱, 2002,『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p.39.
               26) 정해득, 2009,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p.329.



               126  신영주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