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 오산학 연구 6집
P. 124
■ 시석노군(侍席魯君) : 노나라 군주와 대면하여 정치를 논하다.
■ 유복유행(儒服儒行) : 유학자의 복장과 행동에 대해 말하다.
■ 귀서천도(貴黍賤桃) : 기장은 귀하고 복숭아는 천하다.
■ 골변방풍(骨辨防風) : 방풍의 뼈임을 알아보다.
■ 자고인서(子羔仁恕) : 자고는 어질고 용서할 줄 알다.
■ 인번거로(因膰去魯) : 제사고기를 보내주지 않아 노나라를 떠나다.
■ 야어지덕(夜漁知德) : 밤에 고기 잡는 것으로 덕을 알다.
■ 의봉앙성(儀封仰聖) : 봉지를 담담한 관리가 공자를 성인으로 추앙하다.
■ 영공교영(靈公郊迎) : 위나라의 영공이 교외에 나와 공자를 영접하다.
■ 적위격경(適衛擊磬) : 위나라로 가는 도중에 경쇠를 치다.
■ 예견남자(禮見南子) : 예로써 남자 부인을 방문하다.
■ 추차동거(醜次同車) : 수레를 타고 영공의 뒤를 따르는 것을 부끄러워하다.
■ 영공문진(靈公問陣) : 영공이 공자에게 군사의 배치를 묻다.
■ 광인해위(匡人解圍) : 광 지역의 사람들이 포위를 풀다.
■ 서하반가(西河返駕) : 서하에서 수레의 방향을 돌리다.
■ 탈참관인(脫驂館人) : 수레를 끌던 말을 상가에 보내 죽음을 애도하다.
■ 송인벌목(宋人伐木) : 송나라 사람들이 공자가 쉬고 있던 나무를 베어버리다.
■ 과포찬정(過蒲贊政) : 포 고을을 지나면서 자로의 정치를 칭찬하다.
■ 충신제수(忠信濟水) : 충성되고 신의 있는 마음으로 물을 건너다.
■ 진정준집(陳庭雋集) : 진나라 궁궐 뜰에 새매가 떨어지다.
■ 미복과송(微服過宋) : 미복 차림으로 송나라를 지나가다.
■ 오승종유(五乘從游) : 다섯 채의 수레를 끌고 공자를 따르다.
■ 자로문진(子路問津) : 자로를 보내 나루터를 묻다.
■ 진후참(陳侯慙) : 진나라 임금이 부끄러워하다.
■ 자문금간(紫文金簡) : 붉은 새가 자줏빛 문양이 새겨진 황금죽간을 물고 오다.
■ 재진절량(在陳絶糧) : 진나라에서 식량이 떨어지다.
■ 수어치제(受魚致祭) : 물고기를 선물받고 제사를 지내다.
■ 제계찰묘(題季札墓) : 계찰의 묘비에 제기를 쓰다.
■ 초광접여(楚狂接輿) : 초나라 광인 접여가 노래를 하다.
■ 자서저봉(子西沮封) : 공자에게 봉토를 주려는 것을 자서가 막다.
122 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