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오산학 연구 6집
P. 133

수원부 광덕면(현재 평택시 현덕면)의 영당(影堂)에 봉안된 공자 영정을 이안시켜 공자 후손들
                                            36)
                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화성궐리사의 제향은 정조가 노성궐리사의 예를 참고하도
                                                             37)
                                                                                             38)
                록 하였으며 예조에서는 성균관보다 격이 낮은 계성사 의 제례를 참고하여 지내도록 하였다.
                노성궐리사에서 폐백을 쓰는 절차가 없어 다시 하교해줄 것을 청하자 정조는 변·두·보·궤를
                각 1로 하고 작(爵)은 3으로 하여 축과 향은 춘추로 하송하되 의식진행은 공씨 후손이 주관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하지만 국가에서 내리는 축문의 내용에 “조선 국왕 아무개가 신하인 아무개를

                파견하여 아뢴다.”는 문구가 공씨 후손만 참여했을 때의 상황에 모순이 생기자 조정 중신들에
                게 견해를 물어 결정했다. 정조가 손수 쓴 편액과 봄·가을 제사에 국가에서 향과 축문을 내리
                는 궐리사 제사를 여타의 일반 사당과 같은 수준으로 대우할 수 없다는 판단에 초헌관은 지방관
                                                                                39)
                이나 판관이 담당하고 아헌과 종헌은 공씨 후손 한 사람이 담당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정조
                가 궐리사 공역의 시일을 정해주고, 비용을 지급하였으며, 각종 제의 절차 등을 정해 주었기 때
                문에 실질적으로는 국가에서 설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조의 뜻을 지금까지 이어온 화성궐리

                사에서는 현재 궐리사 주관으로 춘계와 추계 석전을 진행하는데 공자 기신일(忌辰日)에 춘계석
                전(음력 2.18), 추계는 탄신석전(음력 8. 27.)을 올리고 있다. 또한 매달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는 삭망분향을 올린다.

                 이러한 역사성을 가진 화성궐리사의 명칭은 궐리사, 오산시궐리사, 오산화성궐리사 등으로
                불리고 있다. 오산시청 홈페이지에는 궐리사와 오산시궐리사로 표기되어 있다. 2020년 독산성

                에서 이루어진 문화재야행 프로그램에 오산시문화재를 소개하는 내용에는 오산화성궐리사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문화재 명칭이 통일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6)  『正祖實錄』卷46, 正祖 16年 10月 3日 戊辰, “令道伯就其闕里舊址 建一屋子 妥安聖像在內閣之本 而影堂本奉 來同藏 號曰闕里
                  祠 祠扁當書下”
                37)  계성사는 조선 숙종27(1701)에 세운 곳으로 공자의 아버지 숙량흘, 안자의 아버지 안무유, 증자의 아버지 증점, 자사의 아버
                  지 공리, 맹자의 아버지 맹격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38) 『화성궐리사지』, 「창건과 제도완비」
                39) 김문식, 앞의 논문, p.83.


                                                “오산시궐리사”와 “궐리사성적도” 문화재 명칭에 관한 제언  131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