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1 - 오산학 연구 6집
P. 131
대종회(孔氏大宗會)에서 성상을 조성하여 성균관에 봉안코자 하였으나 성균관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공자의 상징인 화성궐리사에 봉안키로 계획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계기로 이곳
을 유도진흥의 장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33)
현재 화성궐리사에는 성묘본당과 행단, 성상전, 공자기념전시관이 있고, 2017년에 새로이 인
성학당을 건립하여 운영중에 있다.
<그림 5> 화성궐리사 성묘본당과 내삼문 <그림 6> 성묘본당 편액
4. 오산시궐리사와 궐리사성적도의 명칭
1) 문화재 명칭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 지정명칭 부여 지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제3조(공통적
인 부여원칙)에 공통적인 지정명칭 부여에 관한 내용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있다. 34)
(1) 문화재(문화재명) : 국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고유명사화 되어 있는 문화재에 부여한다.
(2) 고유명사(문화재명, 사찰, 서원, 산 등) + 문화재 : 국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고유명사화 되어 있는
지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문화재에 부여한다.
(3) 시·도, 시·군·구 + 문화재 : 고유명사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지역에도 있을 수 있어 지역을 명확
히 할 필요가 있는 문화재에 부여한다.
33) 강재금, 2017, 「한국에서 궐리사의 의미 : 화성 궐리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 동아시아사상·문화학과, p. 42.
34) 제정 2010.12.22. 문화재청 예규 제88호, 일부개정 2011. 4. 1. 문화재청 예규 제95호, 일부개정 2016. 2.18. 문화재청 예규
제159호
“오산시궐리사”와 “궐리사성적도” 문화재 명칭에 관한 제언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