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오산학 연구 6집
P. 138

참고문헌





               仁祖實錄
               英祖實錄
               正祖實錄
               東國闕里誌
               萬機要覽 軍政篇4, 關防
               華城誌
               華城闕里誌
               弘齋全書
               日省錄


               김동욱, 2002,『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남경식, 2013, 『오산시의 역사와 문화』, 오산문화원
               신희권, 2018, 『문화유산학 개론』, 사회평론아카데미
               오산시, 2019, 「오산시 화성궐리사 소장 『공부자성적도』책판의 현황과 특징」, 『오산시 화성궐리사 성적도 문화재
                     적 가치와 의미』, 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
               오산학연구소, 2019, 『오산학연구(Ⅴ)』, 오산문화원
               우장문, 2006, 『경기지역의 고인돌 연구』, 학연문화사
               정해득, 2009,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강재금, 2017, 「한국에서 궐리사의 의미 : 화성 궐리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 동아시아사상·문
                     화학과
               김문식, 2001, 「정조의 화성 궐리사 경영」, 정조사상연구4
               김준혁, 2014, 「조선 왕실기록을 기반으로 하는 수원화성의 문화콘덴츠 활성화」, 인문콘덴츠 제34호
               신영주, 2017, 「화성궐리사의 활용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심승구, 2012, 「임진왜란 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전술적·전략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37권
               이욱, 2007, 「조선시대 노성 궐리사와 공자사당」, 『종교연구』 47, 한국종교학회
               조선미, 1988, 「공자성적도고」, 미술자료 제60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오산문화원 홈페이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136  신영주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