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오산학 연구 6집
P. 103

<도판 15> 삼신할미약수터                         <도판 16> 삼신할머니상





                4) 왕모대(王母臺)와 왕지물(王至沕)



                 경기도 남양만에 왕모대와 왕지물이 위치한다. 왕모대와 왕지물은 고대 서해 뱃길의 주요 포
                구였다. 왕모대(王母臺) 주변에는 궁평리(宮坪里), 고두섬, 왕지물(王至沕)이 있어 그 옛날의 일

                을 신화처럼 되살린다.


                 (1) 왕모대(王母臺)
                 왕모대(王母臺)는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용두리(龍頭里)에 위치한다. 고대 해안 포구(浦口)이
                                                      34)
                자 마을의 이름이다. 『화성군지』는 왕모대 전설 을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옛날 경관이 아름다운 이곳에서 왕이 춤을 추며 놀았다고 해서 왕무대(王舞臺)라 불리기도 했고, 왕이
                    이곳에 한때 머물러 있던 王母를 배알하러 다닌 곳이라 하여 왕모대(王母臺)라 부르게 되었다



                 (2) 왕지물(王至沕)
                                                                        36)
                                     35)
                 왕지물(王至沕, 王津沕) 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도(濟扶島) 에 딸린 포구이다. 제부도




                34) 왕모대(王母臺), 화성군지, 화성군사편찬위원회, 제3장 지명유래, 995쪽, 1990.
                35) 왕지물(王至沕,王津沕),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 제부항.
                36) 제부도(濟扶島), Daum백과사전 브리태니커.


                                                       오산거북놀이에 담긴 백제 건국 세력의 남하 흔적  101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