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 오산학 연구 6집
P. 98
27)
州) 는 지금의 경기도이다. 북으로 개성(開城), 남으로 사산(蛇山)에 이르렀다. 백두대간의 중
심개념인 山自分水嶺에 따르면 漢山은 한북정맥과 한남정맥을 아우른다. 북한산과 남한산을 구
분하는 것은 漢水이다.
2) 하남(河南)과 하북(河北)
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는 처음 하남(河南) 위례성(慰禮城)에 도읍하였다. 하남(河南) 위례성
(慰禮城)의 위치는 어디였을까? 신라구주군현총도의 하팔현(河八縣)과 고려시대의 사창 하양창
(河量倉)을 근거로 하남 위례성의 위치를 아래와 같이 고증한다.
(1) 하팔현(河八縣)
28)
하팔현(河八縣) 은 한주(漢州)에 딸린 郡縣이다. 신라구주군현총도의 하팔현(河八縣), 차성
현(車城縣), 진위현(振威縣)이 지금의 평택이었다.
평택시 중부에 위치한 하팔현(河八縣)의 하팔(河八)은 이 지역에 흐르는 8개의 하천을 가리킨
다. 하팔현의 팔하(八河)는 황구지천, 오산천, 진위천, 안성천, 한천, 청룡천, 입장천, 성환천이
다. 이들 8개 하천은 평택호에 합류하여 아산만으로 흘러나간다.
평택시 서부에 위치한 차성현(車城縣)은 평택시 안중읍과 포승읍을 가리킨다. 필자는 차성현
(車城縣)을 ‘구르마현’ 또는 ‘수레현’으로 읽는다. 신라 경덕왕이 이 고장의 이름을 수레현으로
정한 까닭이 무엇일까? 세곡(稅穀) 운반의 해운(海運) 조창(漕倉)이 이곳에 있었기 때문으로 판
단한다.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진위현(振威縣)은 평택시 송탄읍과 진위면을 가리킨다. 지금도 신라시
대의 행정 지명 그대로다. 그런데 진위현의 보통명사가 하북(河北)이다. 한강의 북쪽은 강북(江
北)이고 한강의 남쪽은 강남(江南)으로 불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안성천의 북쪽은 河北이고
안성천의 남쪽은 河南이다. 평택시 진위면 하북리에 그 근거가 남았다.
(2) 하양창(河陽倉)
하양창(河陽倉)은 아산만에 두었던 고려시대 조창(漕倉)의 이름이다. 이곳에는 쌀 8백 석을
27) 한주(漢州), 신라구주군현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청구도, 국립중앙도서관, 지리자료실.
28) 하팔현(河八縣), 신라구주군현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청구도, 국립중앙도서관, 지리자료실.
96 임종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