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 오산학 연구 6집
P. 96

利大水)에 이르러, 나를 위하여 나무다리를 놓고 갈대를 띄우라고 하였다. 그랬더니 거북이 응

               대하여 갈대를 잇고 거북을 띄워 왕을 도왔다.”는 내용이다.
                이 기록의 거북(龜)은 고구려의 근거지인 南夫餘를 가리킨다. 백제 왕가의 본류가 남부여에서
               왔다는 것은 백제 성왕(聖王)의 치세에서도 드러난다.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한 성왕은 백제의

               국호를 南夫餘로 개칭하였다. 백제가 본디 고구려와 한가지로 남부여에서 비롯하였음을 상기시
               킨 이름이었다.



               2) 강서대묘의 현무(玄武)


                                                                 26)
                                           玄武는 강서대묘(江西大墓) 의 四神圖에 등장한다. 평안남도
                                         강서군에 있는 고분으로 강서삼묘 중 가장 큰 벽화고분이다. 널
                                         방 남벽의 입구 주변에는 인동·당초무늬를 그려 장식하고, 좌

                                         우의 좁은 벽에는 주작(朱雀)을 한 마리씩 그렸으며, 동벽에는
                                         청룡(靑龍), 서벽에는 백호(白虎), 북벽에는 현무(玄武), 천장 중
                                         앙의 덮개돌에는 황룡(黃龍)을 각각 그렸다. 강서대묘의 북벽에

                                         그려진 현무(玄武)는 곧 신구(神龜)이다.


























               <도판 7> 광개토왕비문 1면          <도판 8> 현무(玄武,神龜)




               26) 강서대묘(江西大墓), 四神圖, Daum백과.



               94  임종삼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