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2 - 오산학 연구 4집
P. 232
고 보면, 주인공인 아기장수가 결국 비극적 죽음을 맞는다는 점에서 아기장수의 죽음을 강요하는 가
치나 질서에 순응하는 의식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지만 아기장수의 죽음이 친족 살해라는 부조리와
불합리로 표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죽음에 잘못된 것이라는 반항의식이 드러난다고도 볼 수
있다. 결국 ‘친족 살해에 의한 아기장수의 죽음’을 통해 순응과 반항이라는 상반된 가치가 긴장하고
충돌하고 있는 샘이다.
.....(중략)
그러므로 아기장수이야기의 지속적 의미는 순응과 반항이라는 상반된 두 가치 사이의 긴장과 균형
으로 집약할 수 있다. 30)
이야기의 갈등 구조와 이에 대한 ‘순응과 반항’이 극적 긴장과 균형을 이뤄 계속적으로 전승되
고 있다는 얘기다. 아기장수가 결국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기존질서에 순응하는 모
습을 보이지만, 근친자에 의한 아기 살해라는 부조리와 불합리에 아기의 죽음이 잘못되었다는
반항의식이 내재되어 있다는 주장이다.
2. 기성세대의 동경과 회한
아기장수이야기는 기성세대가 후배들에게 전해주는 이야기이다.
...앞에서 우리는 아기장수이야기가 대부분 전승현장의 웃어른들이 새로운 사회구성원이 될 어린 아
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라고 하였다. 기성세대가 어린 아이들에게 아기장수이야기를 구연한 이유
가 새로운 세대에게 패배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들은 오히려 자신들의 한계를
솔직히 고백함으로써 같은 실수가 되풀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야기를 전승해온 것이다.
그러므로 기성세대의 반성과 자기 고백의 밑바닥에 깔려 있는 것은 다음 세대가 이끌어갈 미래에 대
한 희망과 의지이다 31)
기성세대가 새로운 세대에게 전달하는 이야기, 비록 실패했지만 이런 일이 있었으니 지난 일
을 거울삼아 다음에는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말라고 당부하는 것이다. 어른이 아이들에게 전하
는 이야기로서 과거를 귀감삼아 앞으로 발전하는 미래를 열어가라는 고언이다.
30) 김영희 앞의 논문 94-95쪽
31) 김영희 앞의 논문 142쪽
230 한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