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7 - 오산학 연구 4집
P. 227

Ⅳ.어머니의 역할과 의미





                 어머니는 자식을 낳고 기르며 지킬뿐더러 자식을 위해서 생명까지 내어놓는 헌신적인 존재이

                다. 그러나 <아기장수이야기>에서 만큼은 어머니가 부정적으로 그려진다.
                 <날개형>이야기에서 아기의 비범함(시렁위에 있거나 군사를 조련하거나 파리처럼 날아다니

                는 등)을 발견하는 사람이 어머니이다. 아기의 비범함이 발견됨으로써 비극이 시작된다. 어머
                니는 아기를 낳고 기르는 육아를 전담하기 때문에 아기의 비범함을 발견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이
                다. 아기의 비범함을 아버지에게 말하고 아버지는 ‘평민의 집에서 장수가 나면 역적이 되어 삼

                족(三族)이 멸문된다’며 아기를 죽이자고 한다. 이때 어머니는 아기를 살리기 위한 어떤 행위도
                하지 않고 함께 아기를 죽인다.
                 <대결형> 이야기에서의 어머니 역할은 두 번이나 아기를 죽음과 실패에 이르게 한다. 첫 번째

                아기가 어머니에게 콩한말을 볶아달라며 한알도 흘리거나 먹으면 안된다고 신신당부하지만 무
                심결에 한알을 주워 먹음으로 해서 죽게 된다.  그리고 아기가 죽으며 곡물과 함께 바위밑에 묻
                어 달란다. 자신이 묻힌 장소는 그 누구에게도 절대 말하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그러나 어머니

                는 관군의 협박과 회유에 못이겨 약속한 기한의 하루(또는 십분)을 남겨두고 묻힌 곳을 발설하
                게 되어 아기의 재기가 실패하고 재가 되어 없어져 버린다.

                 아기장수의 성공에 자의든 타의든 가장 방해하는 존재가 어머니이다. <날개형>에서 아기의
                비범성을 발견하고 아버지에게 얘기하고 또 아기를 죽이는데 동조한다. <대결형>에서는 약속을
                두 번에 걸쳐 지키지 못해 아기를 죽게하고 재기하지 못하게 하는 인물이다.

                 우리가 아는 어머니는 자신이 목숨을 잃더라도 자식을 지키는 존재인데 <아기장수 이야기>에
                서 만큼은 아기를 배신(?)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왜 이렇게 어머니의 역할이 부정적으로 만들

                어 졌고, 이렇게 전승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1.가부장제에 희생된 모성



                 우선 가부장적 사회체제를 들 수 있다. 가부장제는 ‘가장(家長)이 가족성원에 대하여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가족을 지배·통솔하는 가족형태’이다. 가장은 아버지이며 아버지의 부재시 장

                남이 맡게 된다. 어머니나 딸이 가장이 될 수 없었다. 이런 가부장적 사회체제 속에서 아기장수
                의 실패원인을 아버지로 대표되는 가장 또는 남자가 아닌 여성인 어머니가 되어야했다. 아버지



                                      아기장수 이야기의 지속성과 어머니의 역할 그리고 오산 아기장수 이야기  225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