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1 - 오산학 연구 4집
P. 221
오찰방 이야기는 <생존형> 유형중에 가장 유명한 얘기이다. 제주도에 주로 분포하는 생존형
아기장수이야기는 아기가 어른이 될 때까지 생존하지만 날개를 잃고 힘도 잃어버린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Ⅲ.아기장수의 실패 이유
아기장수 이야기는 300여 편이 전하고 있으나 단 한 가지도 성공하지 못한 실패담이다. 가장
많이 전승되는 <날개형>의 경우는 아기가 태어난지 몇일만에 죽임을 당하고 <대결형>이야기에
서도 출전하기 바로 직전에 어머니의 발설로 재가 되고 만다. <생존형>의 경우도 부모에 의해
날개가 제거되고 목숨은 구하지만 힘을 잃고 살아간다. 수백개의 동일한 유형의 이야기가 전하
지만 기존 질서를 무너트리고 성공한 아기장수이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 아기장수는 왜 성공하지 못하고 실패할 수 밖에 없었는가?
1.평민의 집에서 태어난 아기장수
첫 번째 이유는 아기장수의 출신성분의 문제이다. 아기장수의 부모는 가난하거나 농민이거나
평민이며 과부이기도 하다. 가끔 사대부집에서 아기장수가 태어나지만 극소수에 불과하다. 다
시 말해 아기장수는 서민이자 백성의 장수 즉, 민중의 장수인 것이다. 엄격한 세습신분제 사회
에서 가장 밑바닥 출신은 관직에 나아갈 수 없었고, 피지배계층의 인재가 자신의 능력만큼 제대
로 쓰이지 못하면 기존 질서에 불만을 품을 수 밖에 없는 사회구조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
재가 기존 질서에 반감을 갖고 이에 도전한다는 것을 기득권층은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나 기득권층은 기존 질서를 지키고 그것이 최선이라는 통치이념을 사회전반에 전
파시키고 강화한다. 이것이 지배 이데올로기, 지배 이념이다.
강진옥은 확고한 신분제 사회가 운명적인 수동성을 강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아기장수가 비극적 최후를 맞이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분명해 진다. 확고한 신분사회에서
행하여 지는 신분에 따른 인간가치의 결정이란 엄청난 모순이 그대로 시행되면서 평민들에게 부과
아기장수 이야기의 지속성과 어머니의 역할 그리고 오산 아기장수 이야기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