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7 - 오산학 연구 1집
P. 287
<표 4> 경기 도당굿의 춤 구성
경기도 도당굿의 절차 중 춤의 요소가 가장 잘 드러나는 군웅굿, 손님굿, 돌돌이 등에서 나
타난다.
31)
굿춤(巫舞) 의 종류는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무구를 갖고 추는 춤은 방울과 부채
를 들고 추는 춤, 대신칼 들고 추는 춤, 명태와 소지 들고 추는 춤, 제물 들고 추는 춤, 군웅칼
들고 추는 춤, 바라들고 추는 춤, 꽹과리 들고 추는 춤, 활 들고 추는 춤, 징 들고 추는 춤, 신
대 들고 추는 춤, 목검 들고 추는 춤, 정애비와 줄부채 들고 추는 춤, 다리베(十王다리) 등으로
다시 세분된다. 둘째, 무복 옷자락으로 추는 춤은 장삼자락춤, 쾌자자락춤 등으로 세분된다.
셋째, 장단이름을 붙이는 춤은 진쇠춤, 터벌림춤, 도살풀이춤, 부정놀이춤, 올림채춤, 넘김채
춤, 곁마치춤 등으로 세분된다. 32)
‘화랭이’의 굿춤(巫舞)는 진쇠춤과 터벌림춤 등이 있다. 진쇠춤이 등장하는 굿거리는 군웅거
리이고, 무녀가 군웅상을 도는 것처럼 ‘화랭이’도 군웅상을 돌면서 춤을 췄다. 이때 장단은 진
31) 무무(巫舞)의 내용은 목진호, 「경기 도당굿의 악무(樂舞) 고찰」, 『韓國舞踊史學·14』, (서울: 한국무용사학회, 2013),
89~118쪽에 게재된 내용 중 일부를 수정하고 보완하였음을 밝힌다.
32) 李杜鉉ㆍ張籌根ㆍ鄭昞浩ㆍ李輔亨, 앞의 책, 789-93쪽.
경기도당굿과 재인청, 이용우의 삶과 춤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