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0 - 오산학 연구 1집
P. 290

34)
               서도 좋고, 또 아주 성실하였다.  그의 예능에 관해 무가사설, 무악장단을 살펴본다.


               1) 무가사설



                 이 항에서 다룰 이용우의 무가사설은 부정청배, 제석청배, 시루청배, 조상청배, 고사덕담,
               군웅노정기 등 여섯 가지다. 이 무가사설의 내용을 분석하고 경기 전통 무가사설과 비교한다.



                 ① 부정청배: 1982년 채록한 사설이 많지 않으므로 이용우와 지갑성의 구송을 채록한 1980
               년대 자료 <무악>에서 발췌하여 분석해보면 부정청배의 내용은 일곱 가지 단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주제로 단락을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공심은>, 둘째는 <천황씨>, 셋째는 <치국잡기
               >, 넷째는 <도읍마련>, 다섯째는 <일품>, 여섯째는 <정성: 날잡기>, 일곱째는 <임신청좌>이
               다. 임신청좌는 다시 아홉 가지로 구분된다. 부정ㆍ가망ㆍ성주ㆍ선황ㆍ제석ㆍ군웅ㆍ손님ㆍ수

               비ㆍ요귀 등이 그것이다.
                 ② 제석청배: 이용우의 제석청배는 당금애기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 그런데 제석청배에서
               제석님은 천하궁 본이요, 용궁뜰 용녀부인으로부터 탄생하여 고난을 받은 후, 불법승을 만나

               불법에 귀의한다.
                 ③ 시루청배: 이용우의 시루청배 사설은 1980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민속악 체계 정립을

               위한 채보 및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얻은 성과이다. 이 자료집에서 소개한 바로는 지갑성과 이
               용우의 구술을 바탕으로 정리했다고 한다. 이 무가의 구조는 <당칠성의 내력>ㆍ<산천경계>ㆍ
               <매화부인과의 만남>ㆍ<선문과 후문의 잉태>ㆍ<선문과 후문의 고난>ㆍ<당칠성과 만남>ㆍ<임

               무: 파견> 등 일곱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④ 조상청배: 이 사설은 1974년 이용우의 구송을 녹음한 자료이다. 조상청배의 무가사설

               의 구조는 <대월은>ㆍ<천황씨>ㆍ<곤륜산>ㆍ<치국잡기>ㆍ<도읍마련>ㆍ<일품>ㆍ<정성>ㆍ<
               임신청좌> 등 여덟 가지로 나뉜다. 마지막의 <임신청좌>에서 열거한 신격은 부정ㆍ가망ㆍ칠
               성ㆍ제석ㆍ군웅 등이다.

                 ⑤ 고사덕담: 이 사설은 1974년 이용우가 부른 고사덕담을 채록한 것이다. 이 사설은 <천황





               34) 이용우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의 굿),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
                 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2&cp_code=cp0444&index_
                 id=cp04440779&content_id=cp044407790001&print=Y, 황루시,『우리 무당 이야기』에서.



               288  이병옥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