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3 - 오산학 연구 1집
P. 283
1982년 굿 현장에서 ‘화랭이’의 역할을 살펴본 결과, 기예 연희자의 역할을 찾아볼 수 없었
다. 그렇지만 1944년 이혜구의 청수골 도당굿에서 나타난현장자료나 그 이전의 문헌자료를 통
해 세습무부들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짐작할 수 있는 것이 기예부문이다. 기예
는 줄타기나 땅재주, 터벌림 등의 재주나 묘기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기예를
담당한 사람을 재인이라고도 불렀다. 24)
Ⅳ. 경기도당굿 굿춤과 이용우의 춤
1. 경기도당굿의 굿춤 구성
경기 도당굿 절차 속에서 굿춤부분만을 정리하여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으며 굿거리마다 전
혀 다르지 않고, 또한 공통되는 춤들이 등장함을 알 수 있다.
굿거리 장단 춤 복색
당주굿 당악, 자진굿거리 도무, 맨손춤 쾌자
거리부정 자진굿거리 부정물놀림, 맨손춤
부정굿 부정놀이, 섭채, 자진굿거리 부채방울 춤, 부정물놀림, 맨손춤
도당모시기 당악, 자진굿거리, 굿거리 도무, 거성
돌돌이 타령 목검춤 쾌자
시루굿 오늬섭채
부정놀이, 섭채, 자진굿거리,
제석굿 부채방울춤, 장삼춤, 바라춤, 전물놀림 장삼
도드리, 당악, 염불
대안주 도드리, 굿거리, 타령, 당악 거성, 도무, 허튼춤 철륙,쾌자
삼현 염불, 타령, 굿거리
무감 굿거리, 타령, 당악 허튼춤 쾌자
깨낌 터벌림, 겹마치기. 자진굿거리 깨낌춤 쾌자
손굿
노정기 자진굿거리 활춤 쾌자
24) 목진호, 「경기 도당굿의 ‘화랭이’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0쪽.
경기도당굿과 재인청, 이용우의 삶과 춤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