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4 - 오산학 연구 1집
P. 284
터벌림 터,올,겹 터벌림춤
부정놀이, 섭채, 올림채, 부채 방울춤, 장삼춤, 전물놀림춤, 징춤,
군웅굿 철륙,쾌자
겹마치기 활춤
군웅굿 쌍군웅 터벌림, 겹마치기, 자진굿거리 쌍군웅춤(장삼춤, 쇠춤) 철륙,쾌자
노정기 자진굿거리, 중모리, 자진모리 부채춤, 활춤, 쇠춤, 맨손춤 쾌자
도당보내드리기 당악, 자,진굿거리, 굿거리 도무, 거성
중굿 타령 허튼춤 장삼
뒷전 타령, 자진굿거리 깨낌춤 1, 2
위 표를 근거로 삼아 동막도당굿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는 굿거리들의 춤을 정리하면 다음과
25)
같다. 이 글에서는 주요한 굿거리들로 한정하는데, 그 이유는 주요한 굿거리의 절차 구성이
온전하며, 다양한 춤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굿거리의 구성과 춤사위 관계를 위에서 예시한
것 가운데 요긴한 것을 추려서 보이면 일정하게 서두, 중간, 결말 등의 관계로 춤이 정리되는
점이 확인된다.
중간
굿 서두 결말
중간 전반 중간 후반
부정굿 부채방울춤 부정물놀림 맨손춤
제석굿 부채방울춤 전물놀림춤, 장삼춤, 바라춤 맨손춤
활춤, 쇠춤,
손님굿 부채방울춤 깨낌춤
맨손춤
장삼춤, 전물놀림춤, 쌍군웅춤 활춤, 쇠춤,
군웅굿 부채방울춤
징춤, 활춤 (장삼춤, 쇠춤) 맨손춤
춤의 종류가 가장 간략하게 나타나는 굿거리가 부정굿이고 반대로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는
굿거리가 군웅굿이다. 먼저 공통되는 춤들을 추출하면 서두의 부채방울춤이 있다. 서두는 동
일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서두의 부채방울춤이 있는 것은 의례적인 신성성을 말하는 것으로
부채방울을 쥐고 굿을 하는 전통이 이렇게 구현되었다고 하는 것이 적절한 예증이 된다. 부채
방울 춤은 대부분 부정놀이장단으로 하는데 신성한 행위의 기능을 분명하게 하는 장단이다.
25) 동막도당굿에는 서울굿을 하는 무녀와 박수가 참여하였다. 이들의 춤은 서울굿 방식이므로 이 글의 연구대상에서는
제외한다.
282 이병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