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오산시 지명과 유래
P. 21

마을  동북쪽의  골짜기로  지형이  삼태기  모양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  선바위(바위)



                  노적봉이라고도  하며,  노적산  정상  근처에  있는  바위로  바위가  아름답게  생겼고  모

                  양이  서  있는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  순우물(우물)



                  현재는  없어졌지만,  마을  가운데  있는  우물로  느티나무  두  그루가  서  있는  곳에  있
                  었으며,  물이  순하고  맛이  좋아  마을  주민  전체의  식수로  이용되었다고  전해진다.



                  ■  당우물(우물)



                  당집  뒤에  있던  우물로  평소에는  이용하지  않고  마을의  산신제를  지낼  때만  사용한

                  우물이다.


                  ■  당말  앞들(들)




                  당말  앞에  있던  들판으로  현재는  고속도로가  지나면서  잘려나가  마을  앞에  조금만
                  남아  있다.



                  ■  당집(집)



                  역말저수지  옆에  있는  당집으로  오래전부터  마을주민이  음력  10월  초순에  날을  정
                  하여  동네  당제사(산신제)를  지낸  집으로  당집  안에는  고깔  모양의  돌  두  개가  나
                  란히  놓여  있고,  그  돌을  흰  고깔로  씌워  놓았을  뿐이라고  한다.  산신제를  지낼  때
                  에는  소를  잡고  생고기를  적틀에  올려놓고  지냈다고  하며  청송  심씨의  집안에는  다

                  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200여  년  전  청송  심씨  가문에  한양에서  벼슬을  하던  어른이  어느  날  하인  한  명
                  을  데리고  한양으로  올라가다  한강의  노들나무에서  강을  건널  때  물  밑에서  빛이
                  솟고  있어  괴이하게  여겨  물  밑을  살펴보고  있는데  갑자기  물  밑에서  큰  돌  두  개

                  가  물  위로  불끈  솟아올라  하인을  시켜  건져  올려  살펴보았으나  별다른  이상은  없
                  는지라  신기하고  괴이하여  그것을  하인에게  지우고  오산  당말로  내려와  당집을  짓




                                                         -  2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