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오산문화총서 8집
P. 65

녹여 만든 청동제품과 주조·단조로 제작된 만든 철기, 지붕에 올린 기와·막새·치미 등 건축

                자재, 건물에 사용되는 각종 석제품 등이 있다. 오산시에서는 기와를 만든 가마 및 철기 제작과
                관련된 노시설이 조사되었다.
                         19)
                 내삼미동 에서는 필봉의 가지능선 상에서 기와가마가 확인되었다. 길이는 대략 4m 정도로
                파괴된 구간을 고려하면 이보다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가마의 굴뚝이 능선 상부로 향하는 형
                태로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약 12세기 경에 운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쪽에 인접한 내삼
                                                                 21)
                        20)
                미동 유적 에서도 가마로 추정되는 유구가 있으며, 수청동 에서도 절반이 파괴된 기와가마가
                조사되었다. 청학동 유적에서는 가마로 추정되는 큰 규모의 유구가 발견되었는데, 약 14m 정도
                의 길이로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이다. 땔감을 넣어 불을 지피는 연소실과 가마를

                넣고 굽는 소성실이 남아있었고 완형의 기와류와 청동 인장이 출토되었다. 이 도장(인장)의 용
                도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가마의 운영과 생산, 물류를 담당하였던 사람의 것일 가
                능성이 있으며 그 대상은 관인 또는 국가에서 지위를 인정한 장인 등으로 추정된다.

































                그림 17. 청학동 유적 6-1지점 고려시대 가마 및 출토유물 각종(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3)




                19) 京畿文化財硏究院, 2011, 『烏山 內三美洞 遺蹟』
                20) 韓國文化遺産硏究院, 2012, 『烏山 內三美洞 遺蹟』
                21) 畿甸文化財硏究院, 2006, 『烏山 水淸洞遺蹟』


                                                                       고려시대 오산의 유적과 유물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