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3 - 오산문화총서 8집
P. 283
3) 교재와 교구재
교육은 관내 유치원, 초등학생, 중학생 대상으로 대상자별 맞춤교육을 진행하였다. 고학년
의 경우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도록 PPT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며 주제에 따라 참여 대상자를 구
분하였다. 예를 들면 ‘평화이야기, 유엔군 초전기념비’ 수업의 경우 초등 저학년은 신청 대상에
서 상담을 통해 다른 주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문화유산교육은 문화유산이 중심이지만 역사
교육, 사회교육, 체육교육, 미술교육 등과 융합하도록 기획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탐구의 시간을
마련하였다.
표 11.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 활동지
활동지
돌이야기, 고인돌 지혜이야기, 독산성 선비이야기, 궐리사 평화이야기, 초전기념비
교구재
타임캡슐 북아트교구 성적도 목판 국기함
4) 시사점
문화재에 대한 이해(understand it)를 바탕으로 문화재의 가치를 인식시키고(value it) 문화
재를 가꾸고 보호해 나가도록 하고(care for it) 궁극적으로 문화재를 향유하도록 하는 것(enjoy
it)이 지역문화유산교육의 지향점이다. 그러려면 우선 문화재에 대한 이해 교육이 안정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문화재 교육을 통해서 형성된 친근함과 가치인식을 바탕으로 자원봉사 등의 사회참여로 이어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의 시사점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