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2 - 오산문화총서 8집
P. 282
21)
의 존재를 깨달을 수 있는 높은 수준의 문화재 학습으로 기획하였다. 문화유산교육사는 오산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 유경험자를 우선으로 선발했으며 이론수업, 현장수업, 대본작성, 수업시
연등을 진행하여 교실수업이 원만히 진행되도록 하였다. 수업 횟수와 참여대상, 참가인원 현황
22)
은 아래와 같다.
표 9. 2020년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 총괄표
교육 회당
유형 세부사업명 사업기간 횟수 장 소 참여대상 총 인원
시간 인원
지혜이야기, 2시간
학교 2020.4~12. 70 관내학교 초·중학생 20 1,500
독산성과 세마대지 1회차
평화이야기, 2시간 초·중학생,
학교체험 2020.4~12. 20 해당유적지 30 600
유엔군초전비 1회차 지역아동센터
2시간
학교 돌이야기, 고인돌 2020.4~12. 70 관내학교 초·중학생 20 1,500
1회차
지역문화유산교육사 1회
인력양성 2020.3~4. 8 인성학당 성인 20 200
양성 3시간
표 10. 2021년 지역문화유산교육 총괄표
교육 회당
유형 세부사업명 사업기간 횟수 장소 참여대상 총 인원
시간 인원
2시간 유·초등생,
학교 돌이야기, 고인돌 2021.5.~12. 50 관내학교 30 1500
1회차 지역아동센터
지혜이야기, 2시간 초·중학생,
학교 2021.5~12. 20 관내학교 30 600
독산성과 세마대지 1회차 지역아동센터
2시간 유·초·중학생,
학교 선비이야기, 궐리사 2021.5~12. 50 관내학교 30 1500
1회차 지역아동센터
평화이야기, 2시간 초·중학생,
학교 2021.5~12. 20 관내학교 30 600
유엔군 초전기념비 외 1회차 지역아동센터
지역문화유산교육사 1회
인력양성 2021. 4~5. 8 오산문화원 성인 15 120
역량강화 교육 3시간
21) 최용규 외, 2006, 『초·중학교 문화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청원: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5.
22) 주관단체는 문화동행이며 문화유산교육, 문화유산활용기획, 학술용역사업 수행함
280 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