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4 - 오산문화총서 8집
P. 284
지며 자발적인 보호활동의 참여까지 이어지는 순환구조가 원활하게 만들어질 때 시민의 문화재
향유기회가 확대되어 문화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23)
문화재 이해
문화재 향유 문화재 교육 순환구조 문화재 가치인식
문화재 보호
<그림1> 문화재 교육 순환구조
2021년 ‘까산이와 오산여행’교육 진행 후 학생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파악되었다.
- 지역문화유산 교육 이후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깨우치게 해 주었고, 지역의 역사문화에 자
부심을 갖는 교육이었다에 대한 질문은 5가지 항목으로 매우 그렇다 71%, 그렇다 16%, 보통이
다 11%로 조사되어 지역 역사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 문화유산 교육으로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는 계기가 되었다에 대한 질문에 5가
지 항목으로 매우 그렇다 61%, 그렇다 23%, 보통이다 11%로 조사되어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문화유산 방문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에 5가지 항목으로 매우 만족
83%, 만족 12%, 보통이다 2%로 조사되어 문화유산 교육에 적극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문화재청과 오산시의 지원사업인 지역문화유산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오산시의
미래세대들에게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고 지역의 문화유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기회인 지역문
화유산교육이 지속될 수 있도록 오산시의 관심이 필요하다.
23) 문화재청, 2006, 초·중학교 문화재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
282 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