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7 - 오산문화총서 8집
P. 287
참고문헌
김용구, 2021, 문화재보호와 문화유산교육, 문화유산방문교사 연수과정(11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계기석, 2001,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방안연구, 국토연구원, 24
문화재청, 2006, 초·중학교 문화재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
문화재청, 2018, 문화유산 향유 및 인식 실태조사, 대전.
문화재청, 2019, 문화유산교육가이드북, 대전.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실태조사, 대전.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대전
박동석, 2018, 문화재교육학개론, 청주: 세상만사
서태열, 2004, 세계화, 국가정체성 그리고 지역정체성과 사회과교육, 사회과 교육 제43(4)
이해준, 2022, 수원문화재야행 학술세미나자료집-기후변화 대응과 문화재지킴이 활동의 확장성, 수원: 문화재지
킴이경인권거점센터
최용규 외, 2006, 초ㆍ중학교 문화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청원: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최재헌, 2005, 세계화시대의 지역과 지역정체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2)
최종호, 2014, 문화유산교육의 현황과 과제, 지속가능한 문화유산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유산교육 전문성 강화
심포지엄,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최현승, 2013, 집단적 기억의 연속성 확보를 통한 원도심 상징공간의 매력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석사
학위논문
한국문화재재단, 2021, 2021년 지역문화유산교육 사업 안내, 대전: 문화재청
문화재청홈페이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의 시사점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