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8 - 오산문화총서 8집
P. 278

Ⅳ.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1) 오산시 문화유산의 교육내용



                오산시 문화유산교육은 6건의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래에 서술한 문화유산의 특징

               은 문화재청 자료를 참고하였다.


                                          표 8. 오산시 문화유산교육 대상 개요
                연번         종목                 명칭               지정일               분류
                 1         사적           오산독산성과 세마대지          1964-08-29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2     경기도유형문화재            궐리사성적도            1974-09-26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

                 3      경기도기념물           오산금암리지석묘군           1988-12-02    유적건조물/무덤/지석묘
                                                                            유적건조물/인물사건/
                 4      경기도기념물             오산시궐리사            1994-04-20
                                                                              인물기념/사우
                 5      경기도기념물           오산외삼미동고인돌           2005-11-23    유적건조물/무덤/지석묘
                                      오산 유엔군 초전기념비와 옛                       유적건조물/인물사건/
                 6     시도등록문화재                               2021-10-27
                                      동판· 한국노무단(KSC)안내판                         근대사건


               (1) 오산독산성과 세마대지



                독산성은 다른 이름으로 독성산성이라고도 하며 독산성 및 세마대지의 명칭이 오산독산성과
               세마대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011.07.28.고시) 독산성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분명하지는 않

               으나 백제가 쌓은 성일 것으로 추측되며,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시대에도 군사상 요충지로 쓰였
               을 것으로 본다. 선조 25년(1592) 12월 임진왜란 중에 권율 장군이 전라도로부터 병사 2만여 명

               을 이끌고 이곳에 주둔하여 왜병 수만 명을 무찌르고 성을 지킴으로써 적의 진로를 차단했던 곳
               이다.
                성 둘레는 1,100m이고 문도 4개이지만 성안에 물이 부족한 것이 큰 결점이었다. 이곳에는 세마

               대(洗馬臺)의 전설이 있는데, 권율 장군이 산 위로 흰 말을 끌어다가 흰 쌀로 말을 씻기는 시늉을
               해 보이므로 왜군이 성안에 물이 풍부한 것으로 속아서 물러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자료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독산성은 조선의 국왕 중 인조, 영조, 장조(사




               276  신영주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