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3 - 오산문화총서 8집
P. 273

2) 지역문화유산교육 전문인력의 자격과 직무능력



                 문화재청이 지원하는 문화유산교육 사업에 근거할 때, 현행 문화유산교육사는 지역문화유산
                교육을 담당하며 관련학과 졸업자, 전문 자원봉사자, 무형문화재 이수자 및 무형문화재, 전직

                교사·교수 및 공무원을 그 대상으로 한다. 더불어 2020년부터 방문학교 및 체험교실에 참여하
                는 문화유산교육사의 경우 한국전통문화교육원이나 한국문화재재단의 문화유산교육 전문인력

                양성과정 이수자를 일정 비율 포함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문화유산교육사의 자격과 직무능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7)



                                          <문화유산교육사 자격요건과 직무능력>
                       분  류                                  내        용

                                    ●   대학에서 사학과, 고고학과, 문화인류학과, 고고미술사학과, 역사학과, 국사학과,
                                     국악학과, 공예학과 등 문화재 관련학과를 졸업 또는 수료한 자
                                    ●   전직교사, 전직교수 또는 전직공무원으로서 문화재에 대한 관심과 연구 등의 경험이
                                     있는 자
                                    ●   지역의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와 보호활동을 하고 있는 향토사학자 및
                      지역문화           관광진흥법에 따른 문화관광해설사
                    유산교육사업의         ●   문화재 보호 등 자원봉사 활동을 한 자로서 3년 이상의 문화유산교육 경험이 있는 자
                    문화유산교육사         ●   국가무형문화재 및 시·도무형문화재 이수자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자격 요건         ●   초ㆍ중ㆍ고등학교 어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자
                                    ●   컴퓨터, 영상기기 등 디지털 학습 기자재의 활용 능력이 있는 자
                                    ※  문화유산교육 전문인력 양성 교육 수료자의 배치(2020년) : 각 시행단체에서는
                                      문화유산교육을 수행하는 문화유산 전문인력(방문학교 및 체험 교실)의 일부(30%)는
                                      한국전통문화교육원 및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운영하는 ‘문화유산 방문교사연수’ 또는
                                      ‘문화유산교육 전문인력 양성 과정’을 이수한 자로 배치하여야 함


                                    ●   교육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영역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문화재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함
                                    ●   문화유산을 통한 학습, 탐구능력, 역사이해를 통한 올바른 역사 인식, 문화 감수성을
                    문화유산교육사
                                     길러 줄 수 있는 수업을 기획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어야 함
                      직무능력
                                    ●   문화유산에 대한 전문지식과 학생들의 역사인식 발달 단계에 따른 다양한 학습주제를
                                     선정하는 등의 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커뮤니케이션 기법, 스피치
                                     및 강의법 등의 직무 소양을 갖추어야 함







                17) 한국문화재재단, 『2021년 지역문화유산교육 사업 안내』, 문화재청, 재정리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의 시사점  271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