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0 - 오산문화총서 8집
P. 270

Ⅲ. 지역문화유산교육의 시행과 사례





               1) 문화재청의 지역문화유산교육 시행



                우리나라 일반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2018년 문화유산 향유 및 인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문화유산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것(76.6%)으로 나타
                   13)
               났다.  문화재청이 밝힌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목표는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유
               산의 가치를 인식시키고 문화재를 가꾸고 보호해 나가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문화재를 향유

               해 나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문화재교육은 큰 틀에서 사회문화재교육과 학교문
               화재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청소년과 시민들에게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등을 통해 문화재의 가
               치와 소중함을 올바르게 알리고, 이해시키며,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해 나감으로써 소양을

                                                                      14)
               갖춘 문화시민으로 양성해 나가기 위한 교육형태임을 밝히고 있다.  현재 문화재청의 지역문화
               유산교육사업은 학교교육에 치중되어 있다.
                지역문화유산교육사업은 주로 사업공모 형태이며, 여러 지역의 단체에서 교육 및 활용 프로

               그램을 운영하는 실태로 각 사업 주체가 다르고 지역마다 흩어져 있기 때문에 교육 기회나 질에
                         15)
               편차가 있다.  그러므로 지역문화유산교육사업이 단순히 문화재를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교육
               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지역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육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사업을 살펴
                              16)
               볼 필요성이 있다.  문화재청은 교육프로그램 인증제와 워크숍 등으로 주관단체의 역량강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2021년도 지역문화유산교육사업 선정 목록은 다음과 같다.

















               13) 문화재청, 2018, 문화유산 향유 및 인식 실태조사, 대전: 문화재청.
               14) 문화재청, 2017, 대전: 문화재청.
               15)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대전: 문화재청.
               16)  최종호, 2014, 「문화유산교육의 현황과 과제」, 『지속가능한 문화유산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유산교육 전문성 강화 심포지엄』, 서
                 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68  신영주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