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6 - 오산문화총서 8집
P. 266
력의 확장과 창조성 함양을 통하여 문화유산을 통한 미래 가치를 창출 능력을 배양한다. 셋째,
문화유산교육은 환경과 사회 및 타자와의 공존과 공영의 윤리를 습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창의
교육과 융합교육은 학교교육의 최근 지향점이기도 하고 지속가능발전과 문화다양성은 향후 문
화유산교육의 새로운 주제이자 최근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세계시민교육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접근되고 있는 내용들이기도 하다. 교육담당자는 교사연수과정에서 기존의 문화유산교육이 국
가 중심적 교육이었다면, 새로운 문화유산교육은 세계·국가·지역·개체라는 네 개 이상의 층
위를 갖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9)
문화유산을 교육자료로 이용하는 지역문화유산교육에 있어 각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은 양
적·질적으로 풍성한 콘텐츠이다. 지역의 문화자원은 생성 배경도 다르고 형태도 유형·무형으
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그러므로 지역문화적 특수성을 보여주면서 독특한 모습으로 현재까지
전승되는 지역문화의 가치는 매우 다양하고 폭넓게 구현된다. 그리하여 지역사와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바로 우리 지역의 역사, 전통문화에 대한 문화적 정체성과 자긍심과 맥락을 같이
10)
한다. 실제 문화유산교육은 해당 문화재를 알기 위한 학습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학습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게 된다. 문화유산의 정보와 역사적 배경은 조상
들의 생활, 문화, 역사분야를 살펴 자연·생태·환경적 요소와 인문·예술·과학적 배경을 포
함하게 된다.
3) 문화유산교육의 유형
최종호(2014)는 문화재 학습 유형화로 문화재 현장체험학습, 박물관학습, 문화재 실물학습,
문화재 조사·탐구학습, 멀티미디어 활용 문화재학습, 문화재 프로젝트 학습으로 구분하였다.
이는 장소와 교육형태가 혼합되어 구분하였기에 본고에서는 장소의 구분만으로 나누어 현장체
험학습과 교실수업으로 분류하였다.
9) 김용구, 2021, 『문화재보호와 문화유산교육, 문화유산방문교사 연수과정(11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10) 이해준, 2022, 『수원문화재야행 학술세미나자료집-기후변화 대응과 문화재지킴이 활동의 확장성』, 29.
264 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