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7 - 오산문화총서 8집
P. 267
표 1. 문화재 학습의 유형화
문화재 학습 유형 활동 주제(문화재 유형) 문화재 학습의 지도 방안
· 지역의 문화유산 현장 견학 · 그룹 편성, 과제 제시
문화재
· 지역축제 참여(계획세우기) · 사전조사 활동에 시청각자료 활용
현장체험학습
· 무형문화재 따라 배우기 · 전문가 협조
· 국·공립 박물관 견학
· 학교와 박물관의 사전 협의
· 전문박물관, 특수박물관 견학
박물관 학습 · 다면적 차원의 열린 질문 준비
· 문화재 사진·모형을 활용한 교실코너
· 박물관 견학 후, 구조화된 워크시트 활용
박물관 꾸미기
· 문화재 집중 관찰 및 질의응답
· 관찰·토의 후 질문하기
문화재 · 문화재를 활용한 역할놀이 학습
· 실물자료/모사품을 활용한 문화재 감정,
실물학습 · 문화재 모형만들기, 그리기
발굴, 제작과정의 역할놀이 지도
· 모의 문화재 발굴 실습
· 탐구상황 제시
문화재 조사· · 문화재 개념·가치 탐구 · 조사학습 안내
탐구학습 · 조사탐구 결과의 창의적 발표 · 문화재에 대한 탐구
· 질문 활용
· 다큐멘터리 등의 tv영상물 활용
멀티미디어 활용 · 문화재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활용 · 학생들에게 능동적 참여의 기회 제공
문화재학습 ·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화재 탐방 · 교사·학생간의 상호 작용
· 쌍방향적 ICT 학습 프로그램의 활용
· 문화재를 알리는 광고문, 안내장 만들기 · 다양한 추체험 방식 제공(통합적 접근)
문화재 · 문화재 신문 및 연표 만들기 · 소그룹 협동 학습 운영
프로젝트 학습 · 감정이입 글쓰기 · 학부모, 자원인사, 지역사회 구성원,
· 문화재 정보지 만들기 문화재 전문가의 협력
출처 : 최종호, 2014, 「문화유산교육의 현황과 과제」, 『지속가능한 문화유산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유산교육 전문성 강화 심포지엄』,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4쪽
오산시 지역문화유산교육의 시사점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