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오산문화총서 8집
P. 213
의 기능(機能)을 실현함에 있어 디지털 기술(ICT)을 접목, 즉 문화와 기술의 융합(融合,
Culture Technology)을 통하여 창조적이며 차별화된 산성문화(山城文化)콘텐츠를 개발
하자는 것임.
○ 산성 문화콘텐츠는 인류가 만든 산성(山城)에서의 다양한 인문학적 현상을 현존하는 문화
기술(CT)과 방식으로 가공(加工)하고 표현하여, 이것을 즐기고 체험하고 학습하는데 있어
서 재미와 공감(共感)할 수 있는 가치(價値)가 있어야 함.
< 산성 문화콘텐츠의 예시(例示) >
AI, VR·AR, Iot, 홀로그램, 로봇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 전시 : 산성(山城)과 해당 시대적(時代的) 인물이 함께 생동(生動)하는 전시 프로그램
· 행사 : 산성 전쟁게임 프로그램, 산성 쌓기 게임과 게임경연(競演)대회
· 체험 : 산성의 역사적(歷史的) 인물과 대화하고 같이 놀기 프로그램 등
(5) 산성박물관의 창조적 문화콘텐츠 개발의 의미(意味)
○ 산성문화와 ICT기술이 융합된 무형의 창조적 문화콘텐츠는 높은 경제적가치(價値)가 수반
(隨伴) 됨.
▶ 현재 진행 중인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세계경제(世界經濟)를 움직이는 중심은 디지털
을 기반(基盤)으로 하여 생성된 무형자산(intangible asset)이다.
○ 따라서 제시한 산성박물관의 모든 기능(전시·연구·사업·행사·교육 등) 분야에서 다양
한 창조적 콘텐츠를 개발하여 활용(活用)하므로서, 문화적 가치와 함께 경제적 가치를 제
고하여 지역경제 활성화(活性化)를 도모할 수 있음.
○ 이 목표의 달성은 박물관의 기존의 개념을 바꾸는 발상의 전환(paradigm shifting)이 전
제되어야 함.
4) 국립산성박물관의 오산시 유치(誘致) 기대효과
(1) 산성박물관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관광자원(觀光資源)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제(地域經濟)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도모
(2) 산성EXPO 및 세계산성학 학술대회 등 국제행사를 통한 세계적 문화도시(文化都市) 오산
오산 부존(賦存)문화자원의 실용적 활용정책 소고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