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8 - 오산문화총서 8집
P. 218

○  시장 분석

                  -  각국 부유층은 소득의 증대와 함께 문화적(文化的)으로 남과 다른 차별화된 소비를 원하
                     고, 이것이 문화관광을 선호하게 되는 원인으로서 수요가 계속 증가되고 있음.
                  -  따라서 세계관광시장은 코로나 팬더믹과 세계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할 전망이고
                  -  특히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관광산업 연평균성장률은 세계수준

                     (3.3%)을 훨씬 초과(5%)하므로 미래 성장산업으로 발전할 외부 경영환경 여건을 갖추고
                     있음.
                  ▶ 코로나 이후에 보복 관광수요의 폭팔도 예상됨.

                나. 문화관광산업의 일자리(고용)창출 효과
                ○  문화관광산업은 서비스산업으로 분류되고, 일자리(고용)창출의 보고(寶庫)로서 고용효과
                   가 주요 제조업에 비해 2~3배 큼.

                  ▶ 10억원 투자 시 창출되는 고용인원 비교(경북대 이장우교수 자료)
                  - 반도체산업 4.2명, 자동차산업 6.4명, 서비스산업 12.6명
                ○   또한 서비스산업의 고용비율은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 추세(趨勢)에 있음.

                  ▶  OECD 평균 서비스산업 고용비율(자료 OECD Statistics, Labour Statistics,
                     2012) 전체산업에서의 고용비율이 제조업 12.6%, 서비스업은 72.7%로서 서비스업의

                     고용비율이 제조업의 5배 이상


                (3) 추진전략(推進戰略)

                가.  잠재적 관광자원(資源)들을 벨트(belt)화 하고, 여기에 오산시의 문화적(文化的)특성을 반
                    영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접목시켜 사업화(事業化), 즉 New business model을

                    만들어 냄.
                  ▶  문화콘텐츠의 개념 : 잠재적 문화관광자원을 인문학적 성찰과 예술적 감성으로 과학기술
                     (ICT 등)과 융합(融合)하여 만든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문화적 산출물을 말한다. 이

                     것은 가장 오산(烏山)답고 오산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필자의 註)
                나. 문화콘텐츠의 개발 목표(目標)
                ○  세계에서 유일(唯一)하고 차별화된 창의적(創意的) 문화콘텐츠

                ○  세계인(世界人)이 공감(共感)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콘텐츠
                ○  CT(Culture Technology·다양한 ICT기술 적용)를 활용하여 신세대(新世代)와 호흡할 수




               216  김귀근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