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 오산문화총서 8집
P. 217

▶  앞으로 지방분권시대에는 덴마크·스웨덴 등과 같이 적극적인 참여적 민주주의로

                      의 발전 가능성이 큼. (사례 : 덴마크는 보른호름 섬에서 매년 10만 명이 모여 5일 동안
                      시민과 정치인이 정책토론하는 정치축제 실시)



                 (3) 지정학적(地政學的) 배경
                 ○  오산의 지정학적 여건은 앞서 2장(章)에서 논한 바와 같이 서비스산업 외에는 특별한 방안

                    이 없음.
                 ○  그러나 현재 선진국들이 제조업보다 서비스산업 경제로 전환(轉換)하는 추세(趨勢)에 있으
                    므로 우리도 잘 준비한다면 분명 활로(活路)가 있을 것임.



                2) 정책방향 설정과 추진 전략(戰略)



                 (1) 정책방향 설정
                 ○  오산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설정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적 여건을 검토한 결
                    과, 여러 가지 장애(障礙)와 한계(限界)가 있음. 그 예(例)로서 대단위 프로젝트 유치(誘致)

                    나 특정산업의 클러스터(cluster)조성 등은 부지(敷地) 공급의 한계에 부딪침.
                 ○  그러므로 기존 오산시에 산재되어 있는 유무형의 잠재적 산업자원(資源)에경제적 부가가

                    치(附加價値)가 높은 문화(文化)를 접목시켜, 서비스산업의 일종(一種)인 문화관광(文化觀
                    光)산업의 육성을 정책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을 것임.
                   ▶ 물론 문화관광산업 육성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일한 방안이 되는 것은 아님.



                 (2) 왜 문화관광산업인가?

                 가. 관광산업의 시장성(市場性)
                 ○  2030년까지 세계관광시장 수요 예측내용 (자료근거 : UNWTO, 2011, Tour-ism toward
                    2030)

                                                                                     (단위 : 백만 명)
                        구  분            2010년 기준           2030년 예측           연평균성장율(%)

                    아시아·태평양                204                541                 5.0
                      세계 전체                940               1,809                 3.3






                                                       오산 부존(賦存)문화자원의 실용적 활용정책 소고  215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