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9 - 오산문화총서 8집
P. 209
그러나 같은 스토리라도 받아들이는 고객의 감정과 입장은 다양하다. 그러므로 개개 문화상
품의 특징(特徵)을 나타내고 많은 사람이 공감(共感)할 수 있는 스토리를 연구·개발하여야 한
다. 원래 역사(歷史)와 문화(文化)에는 많은 스토리가 스며 있으므로 이를 잘 개발하여 문화상품
에 재미와 감성과 낭만을 불어 넣는다면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자가 본 개인 가게와 지역 시장의 소박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사례 2개
를 소개한다.
<전주의 꿀실다과>
전주 한옥마을에는 ‘꿀실다과’라는 한과를 파는 집이 있다. 그런데 이 집은 이것을 ‘임금님의
과자’라는 스토리텔링을 붙여서 팔고 있었다. 즉 안내판에 ‘임금님의 과자’라는 제목하에 조선왕
조 이태조의 어진(御眞)을 싣고, 궁중에서 외국사신이나 임금님에게 대접했다는 내용을 이야기
로 풀어 설명하였다. 그냥 옛날 전통 궁중한과 일 뿐인데 거기에 이태조의 어진과 함께 ‘임금님
의 과자’라는 스토리를 만들어 광고하면서 팔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는 스토리에 흥미
를 갖고 줄을 서서 사고 있었다.
<수원의 왕(王)이 만든 시장>
수원팔달문시장은 ‘왕(王)이 만든 시장’이라는 스토리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수원 화성을 축성
한 정조 임금께서 기술자들의 노고를 치하하고자 베푼 연회에서 불취무귀(不醉無歸, 취하지 않
으면 못 돌아간다)라고 말씀하신 것을 문헌에서 찾아내고 스토리텔링 전문가를 참여시켜 개발
하였다. 먼저 술잔을 권하는 정조 임금의 조형물(동상)을 시장에 설치하고, 유명 만화가 이현세
에게 의뢰해서 시장 내력을 그린 그림 12컷을 패널로 거는 등 스토리를 활용한 홍보전략을 실행
하였다. 이것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 시장 마케팅전략의 좋은 사례로 볼 수 있다.
3. 정책수립과 제도적 지원
문화서비스산업을 육성하여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수립에 있어서 기본계획(master
plan)과 실행계획(action plan)이 제시되어야 하며, 중장기적인 정책 추진이므로 일정표(milestone)
도 함께 첨부되어야 한다.
정책 수립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두 가지 시스템이 있다.
첫째, 일관된 정책수행을 위하여 민·관·학으로 구성되는 거버넌스(governance)시스템을
오산 부존(賦存)문화자원의 실용적 활용정책 소고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