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7 - 오산문화총서 8집
P. 207
2. 무형 문화자원
○ 부산동에 소재했던 경기재인청의 민속문화 콘텐츠
○ 오산정월대보름놀이, 농악, 거북놀이 등 오산 민속(民俗) 무형문화 자원
○ 오산독산성문화제 등 연례적인 각종 문화축제
○ 김용문 막사발 도예장인(오산 막사발 실크로드 심포지엄)
○ 이장희, 장윤정 등 오산 출신 문화예술인의 인적자원(人的資源)
○ 오산 최초 사립공연장 ‘MEG아트홀’의 클래식 전문기획사와 연결된 음악 연주자 그룹 인적
자원
▶ 잠재적 문화자원은 향후 더 발굴하여야 하고, 그 여지도 충분히 있을 것이다.
3. 잠재적 문화자원에 대한 평가
결론적으로 잠재적 문화산업자원은 충분하다. 그 이유는 좋은 문화콘텐츠와 상품화의 개발은
문화자원(資源)의 다과(多寡)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 발상(아이디어)의 여부(與否)에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앞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자원(資源)이 부족한 강원도 화천군과 일본 나오시
마 섬의 사례가 증명하고 있다.
Ⅳ. 문화자원의 산업화추진 방법론
1. 문화콘텐츠의 차별화(differentiation)
문화서비스산업의 콘텐츠는 오산의 문화적 정체성(正體性)을 나타내는 차별화(差別化)가 필
요하다. 세계에서 유일한 오산 스타일의 문화콘텐츠를 상품화하여야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차별화는 하되 세계인이 함께 공감(共感)하고 즐길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차별화를 위한 첫 단계는 먼저 오산의 문화적(文化的) 토양(土壤)이 되는 지정학적인 여건과
인문학적인 배경에 대한 검토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토대로 국제경쟁력이 있는 차별화된
오산 맞춤형 문화상품이 연구·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오산 부존(賦存)문화자원의 실용적 활용정책 소고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