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3 - 오산문화총서 8집
P. 203

이를 정리하자면 창의적인 지역발전전략이 지역 시민경제(市民經濟)를 살리는 것은 물론 국

                가 경쟁력 향상에 핵심 요소 중에 하나로 부상되었다는 것이다. 선진국들은 이 과제(課題)를 국
                가전략(國家戰略)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오산시도 지역의 문화적 여건에 맞는 지역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시민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것이다.



                2. 오산의 지정학적(地政學的) 여건과 미래산업



                 오산시의 지정학적 여건은 인근 대도시(화성, 수원, 용인, 평택)와 비교할 때 면적이 현저히
                작아(화성시의 1/16) 제조업·농축산업 등은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도로·철도 등 교통여

                건이 양호하며 같은 수도권 내에 있는 2,000만 명 이상의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하여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지정학적 한계(限界)와 장점(長點)을 감안할 때, 미래동력산업으로 발전시켜
                야 할 분야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서비스산업(産業)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많은 선진국

                들이 제조업보다는 서비스경제로 전환하는 추세(趨勢)를 감안할 때, 결코 실망할 일은 아니다.
                오히려 오산의 특유한 문화를 서비스산업과 융합하여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낸다면
                우리의 미래를 밝게 내다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서언(序言)에서 논한 바와 같이 경제적 가치가 큰 문화(文化)를 기반(基盤)으로 하는 서비
                스산업(産業)을 오산의 미래산업의 하나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3. 문화와 문화산업



                 문화에 대한 수많은 정의들이 있지만, 그중에 가장 빈번하게 인용되고 가장 널리 통용되는 정
                의는 영국의 인류학자 Edward Burnett Tylor(1832~1917)의 정의이다. 그는 문화를 ‘지식·신

                앙·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라
                고 정의하였다.
                 일반인이 이해하기 좀 어려운 개념이다. 좀 쉽게 풀어 말하자면 문화는 우리의 삶의 방식이고

                가치관이며 역사적으로 그 사회가 만들어낸 산물이다.
                 현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세계는 문화의 여러 장르(genre)에 창의적인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의 옷을 입혀 새롭고 다양한 문화콘텐츠와 비지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경제

                적 부가가치를 끌어 올리고 있다. 문화기술(CT)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기술로 각광 받
                고 있고, 문화콘텐츠산업은 미래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어느 한때 문화가 중요



                                                       오산 부존(賦存)문화자원의 실용적 활용정책 소고  201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