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0 - 오산문화총서 8집
P. 210
구축·운영하므로써 지자체장이 바뀌더라도 지속성 있는 정책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
이다.
둘째, 시민들의 의견수렴과 전문가 그룹의 활용 시스템도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산업 성
공의 핵심(核心)은 창의적인 콘텐츠와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있으므로 이를 위한 연구·개발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연구조직의 설립과 지원이 뒤따라야 하며 이것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장
치로 관련 지원조례의 제정이 필요하다. 물론 문화산업의 정책수립과 추진을 관장할 오산시의
조직 신설도 필요할 것이다.
Ⅴ. 오산 문화서비스산업 추진 정책안 예시(例示)
앞서 논한 내용을 배경으로 하여 그동안 필자가 작성한 다수의 오산 문화서비스산업 추진 관
련 정책안 중 2건을 예시로 제안한다.
<전제(前提) >
본 정책안은 관련분야에 비전공자인 필자의 제한된 지식과 경험 범위 내에서 작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정책안을 실행하려면 당연히 전문가 그룹과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
정·보완하여야 할 것임을 전제(前提)로 한다.
1. 국립 산성박물관 설립 및 오산시 유치추진 정책안 개관(槪觀)
1) 국립박물관 현황과 시사점(示唆點)
(1). 국립박물관 현황
○ 조사한 바로는 국내에 현재 30개의 국립(國立)박물관이 있으며, 박물관의 명칭을 크게 3가
지 유형(類型)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음.
- 특정한 지역에서 발굴·수집된 고고학적 자료, 역사적 유물 등을 전시하는 박물관의 명
칭으로 해당 도시의 명칭 또는 해당 도시 소재 대학 명칭을 사용한 곳.
208 김귀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