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 오산문화총서 8집
P. 181

6. 閣彌城(각미성)



                 고구려 광개토왕이 討한 백제 이잔(利殘)의 여섯 번째 읍성은 각미성(閣彌城)이다. 각미성(閣
                彌城)은 간궁리성(幹弓利城,화성시 서신면)과 모수성(牟水城,화성시 안녕동) 다음에 등장한다.

                이것은 각미성(閣彌城)이 두 읍성에 인접해 있다는 의미이다. 필자는 각미성(閣彌城)을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浦升邑)과 안중읍(安中邑)으로 본다. 신라 경덕왕 때 평택시(平澤市)는 진위현(振

                威縣), 하팔현(河八縣), 차성현(車城縣)이었다.


                 1) 통일신라의 평택은 하팔현, 차성현, 진위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도 신라구주군현총도

                에 근거한다. 여기서 하팔(河八)이라 함은 이 지역에 흐르는 8개의 하천을 말한다. 하천의 이름
                은 황구지천+오산천+진위천+안성천+한천+청룡천+입장천+성환천이다. 이들 8개의 하천은
                안성천에 합류하여 아산만으로 흘러나간다.

                 평택시 서부 바닷가에 위치한 차성현(車城縣)은 평택시 안중읍과 포승읍을 가리킨다. 필자는
                신라의 차성현(車城縣)을 ‘수레현’으로 읽는다. 신라 경덕왕이 이 고장의 이름을 수레현으로 정
                한 까닭이 무엇일까? 그 까닭은 이곳 차성현에 세곡(稅穀) 운반의 해운(海運) 조창(漕倉)이 있었

                기 때문이었다.
                 아산만에 들어선 국제무역항 평택항은 대중국무역의 전초기지이다. 고려시대 최대의 조창 하

                양창(河陽倉)과 조선시대 최대의 조창 공진창(貢津倉)이 바로 아산만에 있었다. 이곳에는 쌀 1
                천 석을 단번에 싣는 여섯 척의 대형 초마선(哨馬船)이 항시 대기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세곡을
                실어 나르던 수레(車)가 무척 많았던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무역선에 싣고 내릴 물자를 실어 나

                르는 것은 수레이다. 대외 수출품을 가득 실은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21세기의 수레는 트레일러
                다. 지금 이시간에도 평택항으로 물류를 실어 나르는 21세기의 수레는 밤낮을 모른다.



                 2) 필자는 각미성(閣彌城)의 각(閣)을 ‘문설주’로 보았고 미(彌)를 ‘바닷물’로 보았다. 말 그대로
                바다로 나가고 들어오는 대문이다. 신라의 차성현(車城縣)과 하팔현(河八縣)에 대한민국의 대외

                무역항 평택항이 들어섰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발안천에 이어지는 남양만과 안성천에 이어지는
                아산만은 바다로 나가고 들어오는 해문(海門)이었다.










                                                        광개토왕비문에 등장하는 모수성은 독산성일까?  179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