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 오산문화총서 8집
P. 125

도 군사문제를 논의하기 어려웠다. 효종은 파병의 기회를 이용해 군사문제를 공개 석상에서 심

                도 있게 논의할 수 있었다. 같은 해 봄, 효종은 노량에서 훈련도감과 어영청을 대상으로 진법을
                연습하고 대대적인 군대 사열을 벌였다.
                 효종은 1654년(효종 5) 12월에 유혁연을 특별히 승지로 제수하였다. 수원은 다시 조정의 주목

                을 받게 된다. 효종이 총융사 김응해를 보내 경기 여러 고을의 군사와 병기를 점검하도록 했는
                데, 수원이 도내에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김자점의 옥’ 이후 수원부사는 매우 위

                험한 자리로 인식되었다. 군대를 훈련하고 병기를 수리하는 일도 조심스러운 형편이었다. 그러
                기에 아무 일 없이 임기를 채우는 보신주의가 팽배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혁연이 1년 만에
                군사훈련과 군기 보수에 정성을 들여 경기도 전체에서 최고의 성적을 낸 것은 북벌을 준비하는

                효종의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런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김응해가 수원부의 실적을 보고하자 효
                                                                    6)
                종은 수원 부사 유혁연에게 말을 하사하고, 승지로 제수하였다.  그러자 사헌부에서 “승지의 직
                임은 근밀한 자리인데, 무신으로서 여기에 선임된 경우는 국조 이래 전혀 없었다.”며 명을 도로

                거둘 것을 요청하였다. 하지만 효종은 이를 단호하게 거부한다. 유혁연은 동부승지의 직책으로
                국왕 효종을 밀착 수행하였다. 이 기간을 통해 효종은 유혁연의 무관으로서의 능력과 충성심을
                확인하였다. 이듬해에 효종은 유혁연을 충청 병사로 삼았다가 얼마 후 삼도통제사로 전임시켰

                다. <효종실록>도 유혁연의 집안을 주목하여 그의 조부가 임란의 영웅으로 제6대 삼도수군통제
                사를 지낸 무인 유형이며 아버지가 이괄의 난을 평정한 유효걸이라는 사실을 기록한다. “유혁연

                은 무인 형(珩)의 손자요. 효걸(孝傑)의 아들인데, 수원 부사가 되어 병사들의 훈련과 병기의 수
                                                                             7)
                리를 잘 하였는데 상이 유능하다고 여겨 특별히 이 직에 제수한 것이다.”  경기도 모든 군대를
                점검한 총융사 김응해(金應海, 1588~1666)도 효종의 북벌정책과 관련하여 주목해야할 인물이

                다. 고려의 명장 김방경의 후손인 김응해는 1616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도총부도사, 희
                천군수 등을 지냈다. 그의 친형이 1619년 명나라의 요청으로 후금 정벌에 나섰다가 사르후 전투

                에서 전사한 명장 김응하이다. 김응해는 병자호란 때 별장으로 정방산성을 지켰으나 적병이 성
                을 우회하여 곧장 서울로 진격하자 3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추격하여 적의 진로를 막고 고군분
                투하였다. 인조 말인 1647년에 어영대장에 올랐다가 효종 초에 총융사에 임명되었다.










                6) 효종실록 13권, 효종 5년 12월 19일 을해 1654년
                7) 효종실록 13권, 효종 5년 12월 19일 을해 1654년


                                                                        효종의 북벌정책과 독산성  123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