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오산학 연구 6집
P. 34

1. 성벽



                금번 조사에서 확인된 성벽은 발굴조사지역의 삼국시대성벽은 Tr.1·Tr.6·Tr7에서 그 양상
               이 확인된다. 삼국시대 성벽은 크게 세장방형성돌[발굴조사지역, Tr.6]과 방형 및 장방형계통

               [발굴조사지역, Tr.1]의 성돌로 축조한 외벽구조가 확인되었다. 다양한 성돌로 축조한 성벽이
               한 지역에서 확인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세장방형성돌은 다소 이른 시기에 축조된 성곽에서 주
                                        6)
                                                                    8)
                                                      7)
               로 확인되는데, 보은 삼년산성 , 영월 정양산성 , 음성 수정산성  등에서 확인되며 대체로 5세
               기 후반~6세기 후반 경에 축조된 성곽에서 확인되었다. 기저부 상면을 정지한 후 그대로 쌓아
               올렸다. 발굴조사지역에서는 세장방형 성돌의 상면을 이용하여 방형 및 장방형 계통의 성벽이

               축조된 것이 확인되었다. 장방형 성돌은 모서리를 가공한 성돌을 이용하여 축조하였으며, 이러
               한 성돌이 이용하여 축조된 성벽은 서울 양천고성, 음성 망이산성, 양양 석성산성, 정읍 고부구
               읍성, 부여 성흥산성 등에서 비교가 가능하며, 대체로 7세기 중·후반~9세기 사이에 축조된 성

               곽이다.



























                                              삼국~통일신라시대







               6) (財)中原文化財硏究院, 2013, 『報恩 三年山城-東門址2次 發掘調査 報告書』.
               7) (財)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8, 『寧越 正陽山城Ⅲ-사적 제446호 영월 정양산성 7~8차 발굴조사 보고서』.
               8) (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8, 『음성 수정산성-2016년 발굴조사 보고서』.



               32  박현준·서승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