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오산학 연구 6집
P. 36
다른 지역 삼국시대 성벽
음성 수정산성 외측성벽(2018,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서울 양천고성 서성벽(2016,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음성 망이산성 Ⅱ지점 성벽(2016,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정읍 고사부리성 북동성벽 외벽(2013, 전북문화재연구원)
사진 14. 외성벽 축조양상 및 다른 지역 삼국시대 성벽 비교자료
9)
이러한 삼국시대 내벽은 대전 계족산성 에서 확인된 양상과 유사하다. 내벽에 덧대어진 방형
의 석축시설이 확인되는데, 기저부에 장방형의 성돌로 면맞춤을 하였으며, 성 내측으로 비스듬
하게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내벽 상부로 오르내릴수 있는 등성시설로 판단된다. 이후, 내
벽의 뒤쪽으로 단면 삼각형으로 흙을 채워넣어 보강 및 수축한 양상이 확인되며, 이후 조선시대
성벽을 그 상면에 축조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내벽은 협축식으로 먼저 축조하여 사용
하다가, 7세기 중반 무렵 성벽을 수축하는 과정에서 내벽 또한 편축식으로 함께 수축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굴조사지역의 내부에서는 삼국시대 성벽의 내벽이 확인되지 않았고, 편축식
으로 축조된 것으로 볼 때 지형에 따라 축조방식을 달리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9) (재)충청문화재연구원, 2018, 『대전 계족산성-북벽 및 서문지 일원 발굴조사-』.
34 박현준·서승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