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 오산학 연구 6집
P. 167

었다. 적과 싸워 승리한 경험은 군사들에게 큰 힘이 되었다.








                Ⅲ. 전략적 관점에서 본 독산성





                 독산성에 올라보면 왜 독산성의 전략적 가치가 높은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삼국이 한강을 경
                계로 대립하던 시대에는 백제의 요새로서 고구려와 신라의 병력을 방어하는 전초기지의 역할을

                수행했다. 독산성은 수원읍성과 관계 속에서 봐야 진가를 알 수 있다. 마주 보고 있는 수원읍성
                에 주력군이 주둔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역량이 배가되었다. 독산성이 적의 공격을 받을 때 적의
                후방을 공격하여 전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수원읍성을 공격하는 적을 의 후방을 공격하여 적의

                병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서로의 약점을 보완해 줌으로써 전력을 배가할 수
                있었다. 수원읍성도 일찍부터 경기도의 주요한 군사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왔다. 조선 건국
                이후 국경이 안정되면서 내륙에 있는 산성은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다. 서남해안의 읍성이 왜구

                의 침략을 대비하기 위해 서남해안의 읍성을 주목했고, 북쪽의 여진의 침략을 막기 위해 압록강
                과 두만강변의 읍성에 병력을 배치하였던 것이다. 수원읍성과의 관계 속에서 독산성이 가진 지

                리적, 전략적 이점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
                 1592년 겨울, 독산성은 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가 어려운 조건이었다. 독산성은 둘레가 매
                우 가파르기 때문에 방어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었다. 그러나 평지가 넓지 않고 성안에 있는

                우물의 수량이 적었기 때문에 많은 병력이 장기간 주둔하기에는 부족한 약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독산성은 사방을 경계하기에 아주 좋았고, 대병력의 공격도 막아내기에 좋은 지리적

                이점을 가진 요새였다. 특히 성 아래를 흐르는 황구지천은 천연의 해자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군
                수 물자를 수송하기에 좋은 조건이었다.

















                                                                           임진년 겨울의 독산성  165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