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8 - 오산문화총서 7집
P. 218

한알대         삼사        은단지       바래매         영낭        팔대        고드래
               자료
                      두알대        나간다        꽃다지       쥐새끼         거지        장군          뼝
                                   +                                                    +
                ⑧       +                  +은다지         +        +영영         +
                                 나가지                                                  뿅똥땡
                ⑨     +한갈대         +         +          +        +영영         +         + 뿅
                ⑩       +          +       +팥단지         +          +         +         + 뿅
                ⑪     +한발대      +나가는       +은다지         +        +응낭        +발대        + 뼝
                                +삼아중
                ⑫       +                    -          -          -         +         +뼝
                                  날대
                ⑬     이거리        저거리        사커리        호양         금사        새큼사       무,서,리
                      하나먹어        삼사                  참낭구                              고매
                ⑭                          똥개 망깨
                      둘이먹어        네놈                  비둘개                             찌르럭
                ⑮       +       +삼아중         -          -        +응낭         +        +뿅똥끝
                                                      비둘기
                ⑯                          똥개망깨                                     요렁조렁땔 꽁
                                                      참나무
                ⑰     +한가래         +       +꽃단지         +        +육낭         +        +무똥창
                ⑱       +       +나가니       +은다지         +        +응낭         +         +떵
                합     12(13)/14   12/14      8          8          10        11        12/18



                18편을 크게 두 개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한알대 두알대’류이며, 하나는 ‘이거리
               저거리’류이다. 우선 오산시에 전승되고 있는 다리세기 노래 18개의 각 편 가운데 13개에 해당
               하는 ‘한알대 두알대’류를 중심으로 살피어 오산시 다리세기 노랫말의 텍스트를 추정하여 보고

               자 한다.


                우선 ‘한알대 두알대’류를 왜 13편으로 보는가이다. 자료 ④와 ⑪은 ‘한발대 두발대’라 하였는

               데 이는 기수(cardinal number)로 하나, 둘, 셋과 같이 수량을 헤아릴 때와 같다. 그리고 자료
               ⑰도 ‘한가래 두가래’이며 뒤에 이어지는 노랫말도 ‘삼사 나간다’로 전승되고 있다. 한편 자료 ⑦

               은 ‘하날대 두날대’로 ‘하날’은 ‘한알’의 연음(連音)이다. 여기에 자료 ⑨의 ‘한갈대 두갈대’와 자료
               ⑭의 ‘하나 먹어 둘이 먹어, 삼사 네놈’도 ‘한알대 두알대’류에 포함을 시킨 근거이다.



                ‘한알대 두알대’류에서 ‘삼사 나간다’는 구절은 12개의 각편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자료 ⑦과
               ⑫, ⑮에서는 ‘삼아중’으로 전한다. 각각 ⑦누읍동과 ⑫세교동, ⑮수청동의 자료이다. 그리고 ‘나





               216  김용국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