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 오산문화총서 7집
P. 217

10. 양산동



                 ⑯ “똥개 망깨, 비둘기 참나무, 연니 연포, 고기 띠러 간다, 못 얻어먹으나 잘 얻어먹으나, 요
                렁 조렁 땔꽁”



                11. 원동(우촌)



                 ⑰ “한가래 두가래 삼사 나간다 은단지 꽃단지 바라매 쥐새끼 육낭 그지 팔대 장군 고드래 무
                똥 창”



                12. 탑동



                 ⑱ “한알대 두알대, 삼사 나가니, 은다지 꽃다지, 바라매 쥐새끼, 응낭 거지, 팔대 장군, 고드
                래 떵”



                 이상 18편의 다리세기 노래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노랫말의 구성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노랫말은 의미와 기능으로 8개로 분절하여 살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온전히

                전승되는 형태로 각 편에 따라 노랫말이 결손된 것도 있어 어떤 요소들이 중심에 섰는지를 우선
                살펴보면 이렇다.



                       한알대         삼사        은단지       바래매         영낭        팔대        고드래
                 자료
                       두알대        나간다        꽃다지       쥐새끼         거지        장군          뼝
                 ①       +          +          -         -          +          +         +

                                   삼산        꽃단지       바라매 +
                 ②       +
                                  메아리       팥단지+      날린 쥐새끼
                 ③     이거리        저거리        땅거리        천두         만두        수만두         +

                         +                     +                    +
                 ④                  +                    +                     +         +
                       한발대                   꽃단지                   응낭
                 ⑤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천두         만두       대만두 ...    배,서,리

                 ⑥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돈도         망군       도망군 ...    사,리,육
                       +하날대       +삼아중
                 ⑦                             -         -          +          +         +
                       두날대        나가게


                                                        오산시 민요의 전승 양상과 다리세기노래의 특질  215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