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2 - 오산문화총서 7집
P. 222

자료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천두        만두        대만두       - 서리
                 ③      이거리       저거리       땅거리         천두        만두        수만두      고드래 뼝
                 ⑤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천두        만두       대만두 ...    배,서,리
                 ⑥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돈도        망군       도망군 ...    사,리,육
                 ⑬      이거리       저거리       사커리         호양        금사       새큼사 ...    무,서,리
                 합       4/4       4/4       2(4)/4     2/4        2/4       2/4       2/4



                ‘이거리 저거리류’는 3단 구성으로 분석된다. 첫 번째 단위는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두 번째
               는 ‘천두 만두 수만두’이고 세 번째는 ‘- 서리’로 마무리 단계이다.

                먼저 오산시에 전하는 ‘이거리 저거리류’는 가장동과 고현동, 세교동에 전하는데 세교동에 전
               하는 강원도 철원의 유형과 평택과 정남을 경계로 하는 고현동 가장동의 자료가 매우 정형화 되
               어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3, 3, 3 / 2 ,2, 3 / 3”으로 일정한 音數(음수)로 구성된다. 그리고 첫 단위인 ‘3, 3, 3’의 경우
               ‘-거리, -거리, -거리’로 ‘거리’라는 음운과 음수가 규칙적으로 반복되어 리듬감이 고조되고 있

               다. ‘2, 2, 3’도 각 자료가 동일하게 구성이 되고 있다. ‘◌두, 만두, ◌만두’로 ‘두, 두, 두’의 음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의 구성도 4개의 자료 가운데 2개의 자료가 ‘-서리’로
               되어있다. 첫 번째 ‘-거리, -거리, -거리’와 세 번째의 구성에서 ‘-서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는 것도 특징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살피면 ‘이거리 저거리류’는 첫 번째 단위가 불변성을 갖는다. 그리고 두 번
               째 단위는 변화의 가능성이 높으며 세 번째는 3음절로 끝내는 방식은 불변성을 음운의 구성은

               가변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오산시에 전하는 ‘이거리 저거리류’의 텍스트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 :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천두 만두 (대)만두, (배)서리



                이상의 자료를 통하여 확인되는 바, 오산시에 전하는 다리세기 노래는 ‘한알대 두알대류’가 주
               로 ‘이거리 저거리류’를 수용하면서 두 자료 간의 교섭에 의한 상호 영향을 수수하면서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 예를 보이는 것이 ⑭ “하나 먹어 둘이 먹어, 삼사 네놈, 똥개 망깨, 참
               낭구 비둘개, 고매 찌르럭”과 ⑯ “똥개 망깨, 비둘기 참나무, 연니 연포, 고기 띠러 간다, 못 얻





               220  김용국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