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7 - 오산문화총서 7집
P. 227

I. 머리말





                 수도권에는 많은 위성도시가 있지만, 그 중 ‘사람이 빛나는 더 행복한 오산’의 표어를 자랑하

                는 오산시는 세대들의 평균 연령이 다른 도시에 비하여 젊고 건강한 것이 특징이다. 젊음의 상
                징은 건강과 미라고 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일수록 튼튼한 심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이다.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 말하고 있다. 건강한 발과 튼튼한 다리를 잘 유지하고 관리를 하는 사
                람일수록 장수를 한다는 사실은 누구나가 알고 있다. 건강한 발과 튼튼한 다리를 유지하기 위해
                서 꼭 필요한 것으로는 신발을 들 수 있다. 신발은 내부적으로는 생활필수품인 동시에 외부적으

                로는 사회활동에서 필수 불가결한 패션(fashion) 잡화에 해당한다.
                 그동안 4단계까지 이르면서 창궐해온 코로나19(COVID-19) 분위기 속에서도 생활필수품 중
                에 구애받지 않고 있는 품목을 들라고 하면 신발을 꼽을 수 있다. 온라인(online) 구매나 오프라

                인(offline) 구매에 있어서 문제가 될 것이 하나도 없는 상품이다. 고객이 원하는 상품, 가격, 장
                소, 홍보에 있어서 매우 만족하면서 국내외적으로 무난하게 살 수 있는 상품 가운데 하나가 신
                발이다.

                 오산시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이러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신발을 수요에 적절하게 공
                급하는 일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오산시 관내에 위치하며 42년에 유구한 전통을

                지닌 오산대학교 학과들 가운데 슈즈(shoes)패션산업과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가늠해 본다.
                 ‘발 건강과 미를 위한 신발 패션의 창조’를 목표로 한 오산대학교 슈즈패션산업과는 신발 종류
                중 구두와 관련하여 동양에서 첫 번째 학과, 세계에서 네 번째 학과로, 1989년 3월 1일에 학과

                명을 제화공업과, 제1회 신입생을 모집하여 첫 출발을 하였다(오산문화 제71호, 2021에서 재인
                용).

                 계절적 토탈 패션을 아우르는 적합한 감각을 살리면서, 한국 사람의 발 체형에 적합한 구두골
                의 설계, 구두본 작성, 구두 제작 등을 위하여 2년제로 교과목을 편성하고 교육을 이론과 실습
                으로 진행하였다. 교과목들 가운데에서 졸업작품과 현장실습은 학과와 회사가 직접적으로 취업

                률과 연관되는 교육 내용을 목표로 하기에 교과목의 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졸업작품과 관련하여 졸업작품 발표회는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개인 작품과 조별 작품으로
                매년 1회씩 31년 동안 한 번도 쉬지 않고 진행을 하여 왔다. 1990년 10월 해울제 축제 행사 기간

                중 제1회 졸업작품 발표회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은 교내에서 졸업작품 발표회를 진행함과 동시에, 신입생 유치와 취업률 증진



                            오산지역사회 신발 패션에 영향을 준 오산대학교 슈즈패션산업과의 캡스톤디자인 연구  225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