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9 - 오산문화총서 7집
P. 229

II. 학과 캡스톤디자인 검토





                 졸업작품 발표회와 관련된 교과목 교육 과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2학년 2학기에 졸업작

                품에서 캡스톤디자인으로 교과명이 변경되었다. 교과목 이수 과정도 필수에서 선택으로 수강
                신청이 변경되었다. 학점은 2학점, 성적 처리는 F(fail) and P(pass), 강의평가는 현장실습, 커

                리어코칭 등 교과목과 함께 제외되었다.
                 2년 동안 배운 디자인(design), 패턴(pattern), 가공 및 조립 등의 주요 교육을 통하여 본인이
                직접 제작한 작품을 교내와 교외에 마련된 작품 전시 공간을 통하여 발표회를 하였다.

                 테크노(Techno)신발과학과, 신발과학과, 제화패션산업과, 신발패션산업과, 신발산업과, IT
                신발산업과, 신발패션산업과, 슈즈패션산업과로 학과명을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변경하면서(오
                산문화 제71호, 2021에서 재인용), 학과명에 알맞은 졸업작품 발표회로 진행하였다.

                 또한 시대적 변화의 요청에 따라서 졸업작품 발표회와 관련된 교육 과정을 신발개발 및 신발
                생산을 주축으로 한 NCS 교육 과정으로 전환하였다. IT신발산업과, 신발산업과 일반교과 정규
                반과 사회맞춤형사업 성수동수제화반으로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였다(오산문화 제71호, 2021에

                서 재인용). 졸업작품 발표회도 일반교과 정규반 캡스톤디자인과 성수동수제화반 수제화캡스톤
                디자인으로 각각 지도하였다.

                 졸업작품 발표회도 IT신발산업과는 기업체에서 신발개발을 위한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여 기
                획 상품의 샘플 제작과 시제품 제작에 중점을 두었다. 신발산업과는 산업 현장에서 신발생산을
                위한 제조를 기반으로 하여 제품의 품질 안전에 중점을 두었다. 사회맞춤형사업 성수동수제화

                반은 학과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졸업생들이 진출한 서울시 성수동 수제화타운의 발전에 중점
                을 두었다.

                 신발패션산업과 학과명으로 2번이나 졸업작품 발표회를 진행한 이유는, 국내 신발 관련 학과
                가 소속되어 있는 학교들(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동아대학교, 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대
                전과학기술대학교)의 공통적인 요구사항으로, 신발개발 및 신발생산 분야에 있어서 표준화와

                규격화된 NCS 교육 과정의 신설 및 적용을 하였다(오산문화 제71호, 2021에서 재인용). 그 다
                음 단계로는 구두와 운동화 분야에 있어서 교과목 내용을 통일하여 국가자격증인 신발제조기능
                사에 이어서 신발산업기사(필기, 실기)를 2020년 신설하고, 2020년 11월 1차 필기시험과 2021

                년 2차 실기시험에 대비하였다.
                 졸업작품 발표회를 준비해온 학생들 대부분은 신발제조기능사와 신발산업기사 2차 실기 시험



                            오산지역사회 신발 패션에 영향을 준 오산대학교 슈즈패션산업과의 캡스톤디자인 연구  227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