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0 - 오산문화총서 7집
P. 230

에 있어서 신발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를 하였다.

                더불어 학과와 함께 운영된 신발공학연구소는 2000년 교육부로부터 약 18억 원을 지원받아
               서 설립하였다. 신발공학연구소는 당뇨화의 개발 및 생산, 안전화 설계 및 제품화 기술 개발 연
               속 사업, 기능성 구두 제조의 기술, 가죽 분야 용어 표준화, 국제규격 및 KS 규격화 연구, 구두

               표준 치수 체계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하였다(오산문화 제71호, 2021에서 재인용). 졸업작품과
               연관하여 샘플(sample)과 시제품 제작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 한국생활용품시험검사소,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등과 업무 협정
               체결을 하였다(오산문화 제71호, 2021에서 재인용). 졸업작품을 위한 부품과 완제품의 물성 검
               사와 시험성적서 작성에 도움을 받았다.

                구두 3사를 비롯하여 유명 살롱(salon) 구두 패션 업체, 구두 소재와 부품 및 완제품에 관련된
               업체와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을 진행하였다(오산문화 제71호, 2021에서 재인용). 산학협력 가
               족회사 체결 업체에서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기간 중 4주간 현장실습을 통하여 체험한 지식, 기

               술, 태도는 졸업작품을 제작하는데 적용하였다. 기업체에서 원하는 샘플 제작이 되어 품평회에
               서 시제품으로 채택이 될 수 있는 과정의 지도를 받았다.
                대외적으로 졸업작품은 부산국제신발·피혁전시회 참가(2004년), 국제친환경엑스포 참가

               (2004년), 오산시민의 날 전시회 참가(2005년부터), 오산문화재단 및 오산문화원 전시회 참가
               (2015년부터) 등을 통하여 그 시기에 유행하는 패션 감각을 전시로 홍보하였다(오산문화 제71

               호, 2021에서 재인용). 전시회를 통하여 학과 학생들은 수많은 기업체로부터 채용의뢰에 대한
               러브콜도 받았다.
                학과 학생들이 서울시 성수동수제화타운 전시회부터 부산시 벡스코 전시회를 마치고 자진하

               여 기증한 졸업작품들은 국내 유일하게 학과 내부에 꾸며진 슈룸(shoeroom)에 보관 중이다(오
               산문화 제71호, 2021: 58-60).























               228  이종석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