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오산문화총서 7집
P. 117

6) 광교산 전투의 전개도



                 위의 자료를 토대로 광교산 전투의 전개도를 작성하였다. 사실과 다른 부분도 있을 것이나
                 선행 연구물과 현지답사를 통한 추론이다. 결정적인 오류가 발견되면 지적하여 주기 바란다.



                 (1) 광교산 등산지도

                 다음은 용인시가 제작하여 안내한 광교산 등산지도다. 지도 우상귀에 청군이 진지를 구축한
                안재산, 진재산, 대장동이 나타난다. 지도 좌하귀에 광교산 시루봉, 수리봉, 종루봉(비로봉,중
                앙봉), 형제봉이 나타난다.

                 청군의 말이 굴렀다는 말구리 아래에 고기터널이 뚫리고 소말구리 아래에 동천터널이 뚫렸
                다. 칼을 들고 말에 올랐을 도마치에는 서수지IC가 생겼다. 지금의 용인-성남 남한산성-서울
                을 잇는 용서고속도로가 조선근왕군이 진격한 길이자 청군이 공격한 길이다.






































                                               도-45 광교산 등산 안내도






                                                              광교산전투, 김준룡장군 전승지 답사기   115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