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오산문화총서 7집
P. 111

도-43 성불사지                     도-44 성불사지 우물터



                 (4) 충렬서원(忠烈書院)

                         60)
                 충렬서원 은 1576년(선조 9)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설립되었다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학덕
                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09년(광해군 1)에 ‘충렬(忠烈)’이라 사액되

                었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져 1605년에 다시 지었다. 이때 정보(鄭保)와 이시직(李時稷),
                조광조(趙光祖)를 추가 배향하였다. 광해군 원년(1608)에 임금이 이름을 짓고 현판을 하사하였

                다. 나라의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았다. 선현 배향과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담당하였다.
                 병자호란 때, 충렬서원의 유생들이 한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험천전투를 벌이던 충청근왕병

                에 합세하지 않았을까?


                5) 광교산 전투의 과정 복원



                 위의 자료를 근거로 광교산 전투의 과정을 복원하여 보았다. 전라병사 김준룡 장군의 광교산
                전투의 전략으로 정리하였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답사에 추정을 더한 기록이다.



                 (1) 1636년 12월 29일, 전라병사 김준룡 장군은 용인시 수지구 광교산에 진을 쳤다. 전라근
                왕병 2,000명과 보령 무장 인발의 군사 약 200명으로 전투를 준비하였다. 광교산 수리봉(시루

                봉), 종루봉(중앙봉), 형제봉에 진을 치고 청군과 일전을 각오하였다. 12월 29일부터 1월 5일까




                60) 충렬서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118


                                                              광교산전투, 김준룡장군 전승지 답사기   109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