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오산문화총서 7집
P. 109

59)
                 또 있다. 서봉사지 옆 계곡의 이름이 송장거리 다. 송장거리는 왜병 또는 호병이 스님을 살
                해하여 빨래 널 듯 나무에 시신을 걸어놓은 데서 비롯하였다는 것이다. ‘서봉마을 대동청년회장’
                안강현 박사의 부친 안효영(현재 94세)의 증언이다. 광교산 전투가 벌어진 것이 병자호란 때의
                일이니 이 사건은 호로병이 저지른 것이 분명하다.

                 서봉사지에서 광교산 수리봉까지의 거리는 약 690m로 가깝다. 광교산 전투 당일, 서봉사의
                승려들은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을까? 수리봉에서 호로병을 방어하던 광양현감 최택과 그의 병

                사들에게 탄환과 화약, 칼과 창, 물과 주먹밥을 공급하지 않았을까?

















                              도-37 서봉사지                           도-38 서봉사지 출토 금동보관

















                       도-39 서봉사지 출토 마름쇠와 화살촉                       도-40 서봉사지 출토 창검





                 (2) 창성사(彰聖寺)
                 광교산 창성사는 고려~조선시대의 사찰로 알려진다. 창성사지(彰聖寺址)에는 보물 제14호로
                지정된 진각국사탑비(眞覺國師塔碑)가 현존한다. 고려 우왕 12년(1386년)에 진각국사 천희(千




                59) 송장거리, 스님의 시신을 나무에 걸어 놓아 송장거리가 되었다고 구전한다.


                                                              광교산전투, 김준룡장군 전승지 답사기   107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