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오산문화총서 7집
P. 108

4) 서봉사(瑞鳳寺), 창성사(彰聖寺), 성불사(成佛寺), 충렬서원의 역할 탐색



                광교산에 위치하였던 서봉사(瑞鳳寺), 창성사(彰聖寺), 성불사(成佛寺)는 병자호란과 관련
               이 깊다. 이 사찰들이 폐사된 것은 병자호란 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교산 전투가 벌어진
                                                                                        55)
               1637년 1월 6일~7일이었을 것이다. 서봉사와 창성사는 국가에서 인정한 자복사(資福寺) 였다.



                (1) 서봉사(瑞鳳寺)
                서봉사는 고려~조선시대의 사찰로 알려진다. 광교산 수리봉의 옛 이름을 따서 서봉산 서봉
               사(瑞鳳寺)였다. 서봉사지(瑞鳳寺址)에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9호로 지정된 현오국사탑비(玄悟

               國師塔碑)가 현존한다. 고려시대의 승려 현오국사(玄悟國師)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이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서봉사지에 있으며 고려 명종 15년(1185년) 2월에 세워졌다.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에 의하면 용인 서봉사는 자복사(資福寺)였다. 자복사로 지정된 것만

               으로도 서봉사의 규모와 위세를 가늠할 수 있다.
                                               56)
                2020년 「제3차 서봉사지 발굴보고서」 가 나왔다. 그 결과 서봉사지의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
               다. 서봉사의 규모는 경상북도 순흥에 위치한 부석사에 버금가는 규모로 밝혀졌다.

                서봉사지에서 출토된 불교 유물은 매우 화려하다. 금동보관과 청동향완, 수백 개의 서봉사명
                                       57)
               기와편과 백자연봉(白瓷蓮峰) 이 출토되었다. 거기에 더하여 수십 개의 칼과 창, 화살촉과 마
               름쇠 등의 철제 무기(武器)가 발견되었다. 서봉사가 누군가의 방화로 급격히 소실(燒失)되어 땅
               에 묻혔음을 증명하는 유물이다.
                절터에서 다량의 무기가 발견되다니, 무슨 일인가? 서봉사가 한때 무기창고였음을 가리킨다.

               또 서봉사의 승려가 전투에 참여하였음을 알려주는 확실한 근거다.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에 기
               록된 광교산 전투의 치열함을 대변하는 증거다. 어느 때였을까? 서봉사지에서 출토된 병장기는

               병자호란 광교산 전투 때의 일이 아니겠는가!
                                                                                      58)
                그것을 증거하는 다른 자료도 있다. 광교산 전투에서 전사한 보령 무장 인발(印潑) 의 부고
               다. 전투가 끝난 후, 광교산의 승려가 인발의 시신에 달린 호패(號牌)를 보고 가족들에게 부고를

               알렸다. 가족들이 인발 장군의 시신을 수습하여 충남 보령의 선산에 안장하였다.



               55) 자복사(資福寺), 국가에 복이 있기를 기원하여 국가가 지정한 절.
               56) 「제3차 서봉사지 발굴보고서」, 용인시·한국문화유산 연구센터, 2020.
               57) 백자연봉(白瓷蓮峰), 수막새가 빠지지 않도록 박는 못의 대가리를 감추기 위하여 연꽃 봉오리처럼 만든 장식
               58) 인발(印潑), 교동인씨대종회, http://www.kyodongin.com/skin/



               106  임종삼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