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4 - 오산학 연구 4집
P. 254
지할 수 있었던 것은 일반 벼의 품종개량과 재배 기술의 향상에 의한 단위 면적 생산 증가에 따
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 들어와 급격한 농지 감소로 쌀 생산량도 감소하기 시작하여 아래
표와 같이 2005년 오산의 벼 재배 면적은 585정보, 쌀 생산량은 2,662톤으로 줄었고 최근인
2013년 1,553톤으로 1989년의 4,672톤의 33.2%에 불과한 실정으로 3분지 2이상이나 줄었다.
현재 오산에서 생산되는 쌀은 세마쌀로 브랜드화 되어 판매되고 있다. 오산의 쌀 재배지도 주택
지와 산업지로 바뀌면서 면적이 많이 축소되었다.
최근 오산의 미곡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추이 16)
합계 수도 육도
연도 면적 단보 당 수량 면적 단보 당 수량 면적 단보 당 수량
(정보) 수량(kg) (톤) (정보) 수량(kg) (톤) (정보) 수량(kg) (톤)
1989 1,030 454 4,672 1,030 454 4,672 - - -
1991 1,030 440 4,532 1,030 440 5,532 - - -
1993 1,010 450 4,545 1,010 450 4,545 - - -
1995 980 - 4,410 980 - 4,410 - - -
2002 696 450 3,134 696 450 3,314 - - -
2005 585 458 2,662 577 458 2,642 8 248 20
2013 343 466 1,554 343 466 1,554 - - -
2. 오산의 생산물과 오산장의 거래물품과의 상관관계
1) 일제강점기 오산장
1911년에 간행된 『한국수산지』에 의하면 수원의 수원성내장, 수원성외장, 오산장, 발안장, 안
중장 등의 5장시에서 이 가운데에서도 오산장이 그 중 물자의 집산이 다대하여 시황이 대단히
번성하였다고 한 것으로 봐선 오산장의 장세는 컸다고 볼 수 있겠다.
한편, 1914년 12월 25일 조선총독부의 경기도고시 제71호와 시장규칙 제27조에 의해 수원군
성호면에 오산시장의 명칭으로 성호면이 시장경영지로 지정된 이후 상업 거래의 기반이 되는
것은 농업에서 나오는 출산물이 대부분이었다.
16) 오산시, 『오산시통계연보』 1990~2008.
252 남경식